earticle

논문검색

푸틴의 반(反)서방주의와 러-미 관계 조망

원문정보

이홍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최근 러시아와 미국의 관계가 심상치 않다. 서로에 대한 외교적 배려나 관계복원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려는 것 같지도 않다. 임기 내내 러시아 정부와 불편한 관계였던 주러 미국 대사 맥폴은 임기를 1년 겨우 넘긴 상태에서 사임하였고 후임으로 임명된 존 테프트 대사 에 대한 러시아의 시각도 곱지 않다. 양국 간의 갈등은 무엇보다 임기 초 몇 년에 걸친 푸 틴의 대서방 화해시도와 그의 대리인 메드베데프 전 대통령의 유화적 자세마저도 좌절된 점과 관련이 깊다. 또한 서방이 러시아 국내정치에 깊숙이 개입하는 태도에도 크게 반감을 갖게 되었다. 동시에 푸틴은 자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서방이 지속적으로 나토를 확대하 는 데 대하여 강하게 우려를 표명하였다. 이런 가운데 우크라이나 사태를 둘러싼 서방의 경 제 제재 조치가 확대되고 지난해 10월 이후 급작스런 유가 하락이 현실화되자 러시아는 일 련의 사태들이 자신들을 궁지로 몰려는 서구의 음모로 생각하면서 러 – 미 관계는 더욱 냉각 되고 있다. 이에 대한 푸틴의 대처가 궁극적으로 반서방주의적 성격을 갖게 되었는데 이는 중국과의 관계 심화, 유라시아경제연합의 출범, 러시아 가치를 강조하는 민족주의적 성격으 로 나타나 우려를 낳고 있다.

목차

요약
 1. 최근 주요 국제문제에 대한 러-미 갈등
 2. 양국 갈등의 배경
 3. 러-미 갈등 심화 요인으로서의 국제유가 폭락
 4. 러-미 갈등에 대한 푸틴의 대응:“반(反)서방주의, 완전한 주권”
 5. 양국관계 전망과 정책 제언
 주석

저자정보

  • 이홍섭 국방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