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SCAP과 아태 지역 안보협력 : 평가와 함의

원문정보

CSCAP and Security Cooperation in the Asia-Pacific Region : Evaluation and Implications

이재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the Track 2 diplomacy for Korea’s major diplomatic strategies, including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and the Trust-Building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by shedding fresh light on the roles of CSCAP, the most representative track 2 meeting in the Asia-Pacific region. CSCAP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nabling regional powers suffering from a lack of trust in the post-cold war era to build up and maintain security cooperation through ARF among other initiatives. Track 2 specialists, who are relatively independent of their own national interests, have discussed regional security issues and provided feedback to regional governments, promoting security cooperation in the Asia-Pacific region. Furthermore, their discourse has also contributed to identifying new security issues and informing governments in the region about them. An irony of this success is that the room for CSCAP to maneuver has continued to shrink while trust has built up among governments to some degree over time. The fact that in the Asia-Pacific region other opportunities have arisen for security experts to meet and discuss has also contributed to some extent to this decline in CSCAP’s significance. Nevertheless, the CSCAP experiences have great implications for Northeast Asia, which is suffering from a shortage of cross- border trust and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where international dialogue is still a challenge, if track 2 dialogue and hard security issue discussions there are accepted as supplements to nontraditional or soft cross-border security discussions, it will be possible to further promote cross-border cooperation and the buildup of trust in Northeast Asia.

한국어

이 연구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대표적인 Track 2 회의인 CSCAP의 역할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서 한국의 주요 외 교적 구상인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과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등에 대해 Track 2 외교가 가지는 함의를 보고 있다. CSCAP은 탈냉전 이후 신뢰가 부족했던 지역 국가들이 ARF를 비롯한 안보협력을 성공적으로 만들고 운영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비교적 국가이익에서 자유로운 Track 2 전문가들이 지역 안보 문제에 대해서 토론하고 여기서 얻어진 결과들이 정부로 피드백되어 아태 지역 안보협력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했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안보 주제를 발굴, 정부 부문에 투입하는 공헌을 한 바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정부 간 신뢰가 어느 정도 구축되면서 CSCAP의 입지가 점차 줄어드는 성공의 역설이 나타났다. 또한 아태 지역에 CSCAP 외의 다른 안보 전문가들이 만나 논의할 수 있는 장들이 생기면서 상대적으로 CSCAP은 다소 위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 간 신뢰와 협력이 부족한 동북아 지역에는 이런 CSCAP의 경험이 시사하는 바가 아직 크다. 국가 간 대화가 쉽지 않은 동북아에서 Track 2 대화와 이를 통한 경성안보 문제 논의를 비전통 안보 혹은 연성안보 문제에 대한 국가 간 대화와 병행한다 면 동북아 국가 간 협력과 신뢰 구축을 더욱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 서론
 2. 아태 지역 다자안보협력 형성을 추동한 CSCAP
 3. 현 아태 지역 안보협력에서 CSCAP의 역할에 대한 평가
 4. 동북아ㆍ한반도 문제와 CSCAP의 함의
 5. 결론
 주석

저자정보

  • 이재현 LEE Jaehyon.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