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여성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패션소비행동 특징 - 20∼30대 신흥중산층 소비자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Consumption Behaviors Based on Chinese Female Consumers’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최미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of the Chinese female consum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consumption behaviors according to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Data were collected among the middle class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30s on January, 2014 in Shanghai. 300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y were new middle class consumers with greater spending on clothing expense, who embraced both the traditional and modern values. Second, th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consists of six factors; the brand conspicuous shopping orientation, impulsive shopping orientation, economic shopping orientation, trend-seeking shopping orientation, enjoyable shopping orientation, and rational shopping orientation. Third, as the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the sub dimensions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were categorized into 5 groups with a reasonable shopping orientation as the basic characteristic; enjoyable trend pursuing group, economic shopping oriented group, reasonable trend pursuing group, active consumption enjoying group, and conspicious impulsive consumption group.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shion information sources and shopping places. The marketer leading information source was predominant, but the influences of personal source and online source were preferred by large numbers. Fifth, evaluations on the acceptance of Korean fashion products were positive and the active consumption enjoying group’s attitude was the most favorable. However, the evaluations on Korean fashion products were significantly low in the conspicious impulsive-consumption group and enjoyable trend pursuing group. Through this study,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was verified as effective segmentation variables for Chinese middle class female consumers and it is expected to g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differentiated market strategies based on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hen Korean apparel companies enter the Chinese women’s market.

한국어

본 연구는 중국 여성 소비자들의 의복쇼핑성향을 알아보고 이를 기준으로 세분집단별 구체화된 패션소비행동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수집은 패션제품의 소비가 활발한 20대∼30대 중산층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2014년 1월부터 6주간 상해를 중심으로 설문지를 활용한 개별 인터뷰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300명의 유효 응답치를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실증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은 의복비 지출 비중이 높은 신흥 중산층 집단으로 전통적 가치관과 현대적 가치관을 동시에 수용하고 있었다. 둘째, 의복쇼핑성향에 대한 요인분석결과 브랜드 과시적 쇼핑성향, 충동적 쇼핑성향, 경제적 쇼핑성향, 유행추구 쇼핑성향, 향유적 쇼핑성향, 합리적 쇼핑성향의 6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셋째, 의복쇼핑 하위차원에 대한 군집분석결과 합리적 쇼핑성향을 기본 특징으로 향유적 유행추구 집단, 경제적 소비지향 집단, 합리적 유행추구 집단, 적극적 소비향유 집단, 과시적 충동소비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넷째, 5개 세분집단별 활용하는 패션정보원 유형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기존 매체를 활용한 마케터 주도적 정보원의 영향력뿐 아니라 개인적 정보원의 영향력과 온라인 정보원의 영향력이 큰 집단으로 밝혀졌다. 또한 각 세분집단 간 쇼핑장소 선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한국패션제품 수용과 관련된 국가이미지, 패션제품에 대한 이미지, 구매한 제품에 대한 만족도, 구매의도에 대한 평가는 우호적이었으며, 적극적 소비향유 집단의 태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과시적 충동소비 집단과 향유적 유행추구 집단에서 한국 패션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유의한 수준에서 낮아 아직까지는 이들의 과시적 욕구와 상징적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의복쇼핑성향이 다변화된 중국 중산층 여성 소비자들 대상으로 한 마켓의 유효한 세분화 변수임을 검증하였으며, 각 세분집단별 특성을 기준으로 국내 패션기업의 중국 여성복 시장 진출 시 차별화된 세분 마켓 전략 수립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얻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1. 중국 사회의 변화와 패션시장의 성장
  2. 중국 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과 패션소비행동
  3. 국가 이미지와 패션제품 수용태도
 Ⅲ. 연구방법 및 자료수집
  1. 연구방법 및 연구문제
  2. 변수의 측정과 자료분석
  3. 응답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 중국 신흥 중산층 여성소비자들의 가치관
  2. 중국 신흥 중산층 여성소비자들의 의복 쇼핑성향
  3. 의복쇼핑성향 집단별 중국 신흥 중산층 여성소비자들의 패션 소비행동
  4. 의복쇼핑성향 집단별 중국 신흥 중산층 여성소비자들의 한국패션제품수용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미영 Choi, Mi Young. 덕성여자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