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세대별 가계경제구조 비교분석

원문정보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ousehold Economic Structure between the Generation

이은희, 김경자, 이성림, 유현정, 차경욱, 이영애, 이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day, Korean households lived in the era of socioeconomic polarization while experiencing a global economic crisis are facing various economic difficulties as well as the aging issues, the Social Security problem, and the lack of youth job. Those difficulties are likely to address the problem of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The perception and values between generations are mixed in culture and emotion of each generation, and the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makes it difficult to solve various social problems. Eventually the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confrontation occur. The study related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conomic structure between the generation are very little, although the issues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along with financial difficulties are emerging in our society. Therefore, the study has been tried to find out the issues associated with the inter-generational conflict through the analysis of income, consumption, and debt. The generation is largely divided into five cohorts; post war generation, baby boomgeneration, democratization generation, X-generation, and eco generation. To investigate the economic structure between the generation, 2013 the household survey data and 2014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s were analy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all generations are experiencing economic difficulties. Three generations, democratization, X, and eco are harassed by the burden of home mortgage loan based on the analysis of high level of debt to total wealth ratio. In terms of the eco generation, the amount of consumption in the leisure and daily maintenance was more than they could earn. The polarization of income distribution exists within the generation of postwar and baby boom in particular. Also, the democratization generation has high level of education spending for the children and unstable preparation of their retirement represented by the low level of the annuity insurance compared with X generation.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 associated with economic security and support of each household through life cycl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alleviation and mitiga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in our society.

한국어

세계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 양극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오늘날의 가계는 경제적 어려움뿐만이 아니라 인구고령화 및 연금문제, 청년일자리 부족 등의 문제로 불거지게 되는 다양한 세대 간 갈등의 불씨를 안고 살아가고 있다. 세대 간 인식과 가치관의 차이는 각 세대의 문화와 정서의 차이가 복합되어 있어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을 어렵게 만들며, 결국 세대 간 갈등과 대립을 낳게 된다. 이러한 세대 간 갈등이 대내외적인 경제적 어려움과 맞물려 더욱 첨예해지고, 복잡해질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세대별 가계의 경제 구조를 본격적으로 비교분석한 연구가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대별로 우리나라 가계경제 구조의 현황을 진단하고 비교함으로써 가계소득, 소비패턴, 부채문제 등의 세 가지 분야에서 세대갈등의 쟁점이 되는 이슈를 발굴해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방․전쟁세대, 베이비붐세대, 민주화세대, X세대, 에코세대의 다섯 개의 세대구분을 기준으로 각 세대별 가계의 경제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사용된 자료는 2013년 가계동향조사와 201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중 금융부분의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모든 세대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에코세대, X세대, 민주화세대는 주택자금 마련 등의 이유로 인해 자산대비 부채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코세대의 경우는 여가 및 일상생활 유지를 위한 지출수준 대비 소득수준이 낮기 때문에 부채를 감당하기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었다. 해방세대와 베이비붐 세대 내 소득의 양극화가 존재함이 확인되었으며, 교육비 지출 부담이 가장 큰 민주화세대는 X세대에 비해 낮은 수준의 연금 보험료를 지불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노후 준비 상태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 가계가 생애 전 주기에 걸쳐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사회적으로는 세대 간 갈등을 완화하고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세대의 개념
  2. 우리나라 세대에 대한 이해와 세대별 특성
  3. 세대별 가계경제구조 추이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1. 세대별 가계의 자산과 부채 보유특성의 차이 분석
  2. 세대별 가계 소득수준 및 세대내 소득분포 차이분석
  3. 세대별 가계 지출수준과 지출비중의 차이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은희 Lee, Eun-Hee. 인하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
  • 김경자 Kim, Kyung-Ja. 가톨릭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교수
  • 이성림 Lee, Seonglim. 성균관대학교 소비자가족학과 교수
  • 유현정 Yoo, Hyun-Jung. 충북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
  • 차경욱 Cha, Kyung-Wook. 성신여자대학교 생활문화소비자학과 부교수
  • 이영애 Lee, Young-Ae. 인천대학교 소비자아동학과 부교수
  • 이준영 Lee, Jun-Young.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