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object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circumstantial changes surrounding the unification brought about bycontinuous competition between America and China throughout the 2010s, as well as the influences on Chinese strategy and policy paradigm o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is predicament, South Korea’s and China’s initiatives toward Korean unification are also analyzed. The role of China is now changing from a dictator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economics to a designer of international law and order (policy maker). As we know, China proposed the new pattern of relationship among great powers, and is seeking to cooperate with America, while trying to seize the initiative of regional order. China also proposed the “New Asia Security Concept” which emphasizes “development,”“cooperation,” and “engagement,”with the object of changing the Asian regional order from “power-related” to “system-related.” China is now trying its best to seize the initiative of regional order by conducting active diplomacy with neighboring countries, for which it proposed a“community of destiny.” The Chinese strategy has an influence on its strategy regarding the Korean Peninsula. For instance,the existing Chinese strategy 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passively responded to by the establishment of Sino-American relations, and is therefore trying to link Sino-South Korean relations to Sino-North Korean relations. But now, China’s new construction of neighboring orders is changing, which will further develop by divid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South and North Korea.
한국어
이 연구는 패권국 미국과 부상하는 중국 간의 경쟁으로 한반도 통일 환경의 변화, 중국의 한반도 전략과 정책 패러다임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중국은 현존하는 국제정치경제 질서의 수용자이자 반응자(rule taker)에서 질서와 규칙의 설계자이자 제정자(rule maker)로 나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은 신형대국관계를 제시하여 미국과의 협력을 추구하는 한편 지역질서 주도권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중국은 ‘신아시아 안전관(新亞洲安全觀)’을 제시하여 ‘발전’, ‘협력’ 및 ‘포용’을 통한 ‘권력형 지역질서’를 ‘제도형 지역질서’로 전환시키려고 한다. 또한 중국은 ‘운명공동체’를 제시하여 적극적 주변국 외교를 통한 지역 주도권 확보에 전력하고 있다. 중국의 이러한 전략은 한반도 전략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존에 중국의 한반도 전략은 중미관계의 설정에 따라서 소극적으로 대응해 왔으며, 한중관계와 북중관계를 연계시켜왔다. 그러나 중국의 새로운 주변질서 구축은 대 남북한 관계를 분리시켜 전개할 것으로 전망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중국의 대 한반도 전략 패러다임의 변화
1. 중국의 한반도 전략 환경구조의 변화
2. 시진핑 정부의 대외정책과 한반도 전략의 변화
Ⅲ. 중국의 한반도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1. ‘한중전략적 동반자관계’의 내실화
2. 북중 동맹관계의 조정
Ⅳ. 결론: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한중 협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