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성화고 졸업자의 재학 중 취업노력 및 취업지원이 실제 취업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Analysis on Effects of Employment Activity and Support to School-to-Work Transition for Special-purpose High School Graduates

천영민, 오민홍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and how employment activities and supports were effective to school-to-work transition for special-purpose high school graduates. Government intervention to relieve employment problems for the youth mainly focused on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who consist of more than 70 percent of the total youth population. Thus high school graduates have been kept away from the government’s policy targets relative to the graduates of tertiary education. Under the consideration that high school graduates have lower probability to attach decent jobs, however,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expand policy target to the high school graduates as well as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This is because the high school graduates might end up with being ‘working poors,’ although they have jobs after graduation. If this dismal prediction is realized, then high school graduates would be the main sources to whom the government deliver income transfers through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assistance program. From this point of view, government’s employment programs for the high school graduate seem to be proactive and efficient over time. As a cross sectional data, High School Graduates Employment Survey (HSGES) colle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has been used for the analysis. HSGES contains information on labor market entry and job attachment process for high school graduates who have no plan to enroll in colleges or universities. Since more than 70% of high school graduates enter colleges or universities, sampling only the high school graduate who get a job after graduation would reduces self selection problems. Despite these advantages, it is difficult to dynamic process of school to work transition for high school graduates since HSGES has been collected only in 2012 and 2013. Meanwhile, it has been used the hierarchical logit model for the analysis where the hierarchy has been set based on the survey process: activities on career preparation, participation of various job search activities, and satisfaction on such activities. It is found that school type and GPA among personal characteristics have relatively higher interaction with job attachment. Likewise, career discussion with family members and winning a prize in various competitions or contests related with future career also seem to have significant impact on school-to-work transition, and so do work experiences and career education such as resume and job interview. Among various employment support programs, consultation on resume and job interview seem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bability of job attachment. These findings support that career education in high school as well as at home would be critical to eradicate current youth employment problems in Korea. Furthermore, the government intervention focused more on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employment performances needs to expand even to high school graduates. It is because supporting high school graduates would lessen their future financial and social risks as mentioned above. Finally, career education needs to be strengthened from the period during which students attended high school.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재학 중 개인의 취업노력과 학교의 취업지원 노력들이 고교 졸업 후 취업 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간 정부는 양적인 차원에서 대졸자 를 중심으로 청년고용문제를 다뤄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고졸 청년의 경우 정부의 청년 일 자리 정책대상에서 상대적으로 제외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고졸자의 경우 상대적으 로 낮은 취업가능성과 함께 취업이 된다고 하더라도 저임금 일자리로의 취업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우려가 현실화 될 경우, 고졸자는 향후 주요한 취약계층으로서 재정부담의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현재 고졸자에 대한 학교로부터 일 자리로의 이행(school to work transition)을 원활히 하고, 이와 더불어 보다 나은 일자리로의 취업을 위한 정부의 개입은 중요한 정책 목표가 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구 는 고졸자로 하여금 학교로부터 일자리로의 이행에 도움이 되는 취업지원 방안 중 어떠한 프로그램이 효과적인지를 분석한다. 분석을 위해 활용된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의 고졸자 취업진로조사(HSGES: High School Graduates Employment Survey)로서 이 자료는 미진학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노동시장 진입 과 정착과정 등을 파악하기 위해 2011부터 격년으로 조사하는 횡단면조사이다. 본 자료는 표본추출 과정에서부터 진학의도가 없는 고졸자만을 대상으로 조사되었기 때문에 진학의 의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각종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참여 여부라든지 노력의 강 도 등은 사전적으로 통제(self-selection)되었다고 볼 수 있다. 분석 결과, 개인 배경 변수 중에서는 ‘성별’과 ‘졸업 전 의중임금’, 가구 배경 변수 중에서 는 ‘보호자 소득’, 학교 배경 변수 중에서는 ‘졸업학교 유형’, ‘졸업학교 전반적 만족도’, ‘학교 성적’, 가정 내 진로지도 변수 중에서는 ‘적성․흥미․진로 관련 대화 여부’등이 유의하였다. 취업노력과 관련된 변수 중에서는 ‘방과 후 학교 참여 여부’, ‘각종 경진대회 및 공모전 수상 여부’, ‘재학 중 근로경험 여부’, ‘재학 중 자격 취득 여부’, 취업지원과 관련된 변수 중에서는 ‘이력서 작성․면접 등 구직활동 지도’와 ‘취업지원 전반적 만족도’등이 유의하였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에 비해, 졸업 전 의중임금이 높을수록, 보호자의 소 득이 높을수록, 특성화고나 종합고 보다는 마이스터고 졸업생일수록, 졸업학교 만족도가 높 을수록, 학교 성적이 높을수록, 진로 관련 대화 경험이 있을수록, 전공 관련 방과 후 학교에 참여할수록, 경진대회 및 공모전 수상 경험이 있을수록, 재학 중 근로경험이 있을수록, 재학 중 자격을 취득할수록, 이력서 작성․면접 등 구직활동지도 경험이 있을수록, 취업지원 전 반적 만족도가 높을수록 취업성공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요약
 Ⅰ. 연구 배경 및 필요성
 Ⅱ. 선행 연구
  1. 취업노력 및 취업지원
  2. 진로지도 및 진로성숙도
 Ⅲ. 연구방법
  1. 분석자료
  2. 자료 처리 방법
 Ⅳ. 연구 결과
  1. 변수설정 및 기초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천영민 Young-Min Chun. 한국고용정보원, 고용조사분석센터, 연구위원
  • 오민홍 Min-Hong Oh. 동아대학교 경제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