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is the result of a research project from 2013 in which we reviewed oral history materials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that were compiled in the last ten years. I with other four co-researchers initially classified these oral history materials into eight subjects. We then chose 5 of these subjects—political economy, local history, scholarship and education, women and family, and life history—and examined them in terms of form and content. By doing this, we attempted to diagnose the problems involved in institutional oral history projects and to make recommendations for their future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 examination of these materials, the author argues that government agencies or government-sponsored institutions need to reorganize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ir oral archives, and to specify their collections suited to the aims of each institution. The author also asserts that a vast amount of oral history materials collected in many institutions need to be utilized more effectively through a proper service system. For this, the aims and issues of institutional oral history projects above all have to be reexamined through discussion among oral historians and oral history project institutions. Lastly, the author requests a sincere commitment from the persons in charge of oral history projects, oral historians and institutions while she recognizes the contributions which institutional oral history projects have made to the progress of Korean oral history research.
한국어
이 논문은 2013년도 국사편찬위원회가 지난 10년간의 구술채록결과물을 검토하는 연구프로젝트의 결과물이다. 필자는 다른 공동연구원들과 함께 국사편찬위원회의 구술채 록결과물을 재분류하여 8개의 대주제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5개의 대주제, 정치경제, 지 역사, 학술교육, 여성가족, 생애사를 선정하여 형식적인 면과 내용적인 면으로 검토함으 로써 국사편찬위원회의 구술채록사업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 였다. 필자는 구술채록기관들이 구술채록사업 시스템과 구술 아카이브의 분류체계를 다 시 정비하면서 기관구술채록의 특수성을 담보하는 구술 아카이브를 특성화하고, 이제까 지 축적된 방대한 구술 자료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필자는 기관구술채록이 한국 구술사 연구의 발전에 기여한 바를 인정하면 서, 기관구술채록사업에 참여하는 기관, 실무자, 연구자들의 성실성을 요구한다. 마지막 으로 구술채록기관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의식과 사업 목적을 재검토하여 앞으로 각 기관 에서 더 진전된 구술채록의 방향을 진단해야 한다고 본다.
목차
1. 시작하는 글
2. 국편 구술 자료의 검토
1) 분류체계의 정리
3. 국편 구술 자료 분석 결과
1) 주제별 구술 자료의 특성 분석
2) 형식 평가
3) 내용 평가
4. 다른 기관 구술채록사업과의 비교
5. 기관구술채록사업의 성과와 과제
1) 구술채록사업 시스템 정비
2) 구술 아카이브의 분류체계의 정비
3) 구술 아카이브의 특성화
4) 구술 자료의 활용 증대
5) 기관구술채록의 과제
6.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