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부모의 양육태도가 대학생 자녀의 목표추구지향성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Quality of the parenting style o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 The mediation effect of goal-seeking orientation

이형화, 장형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parenting style, goal-seeking orient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wo hundred and fifty-seven college students completed instruments assessing parenting style(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goal-seeking orientation(validation-seeking orientation, growth-seeking orient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tructural analyses showed that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contributed positively to validation-seeking orientation while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contributed positively to validation-seeking orientation and growth-seeking orientation. In turn, validation-seeking orientation contributed negatively to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growth-seeking orientation contributed positively to psychological well-being. Test for mediation showed that validation-seeking orient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growth-seeking orient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with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es.

한국어

본 연구는 Baumrind의 양육태도이론과 Dykman의 목표추구지향성 접근을 연계하여 이들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밝힘으로써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의 고저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후기청소년기 대학생 자녀의 목표추구지향성(i.e, 확인추구 vs. 성장추구)에 영향을 주고, 이는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을 정적 또는 부적으로 예측한다는 연구모형을 상정하였다. 본 연구에는 대학생 257명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부모의 양육태도(i.e., 권위적 태도 vs. 민주적 태도), 목표추구 지향성(i.e., 확인추구 지향성 vs. 성장추구 지향성), 심리적 안녕감 수준을 자기보고식으로 평정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의 권위적 양육태도는 자녀로 하여금 늘 자신의 가치를 확인받고자 하는 열망인 확인추구지향성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결과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는 자녀로 하여금 확인보다는 성장 및 발전에 관심을 쏟는 성장추구지향성에 정적 영향을 주며, 이는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는 자녀의 확인추구지향성에도 정적 영향을 미쳤는데, 이와 같은 뜻밖의 결과는 부모의 자녀에 대한 높은 교육적 기대와 부모를 실망시키지 않으려는 자녀의 갈망이 확인추구지향성으로 연결된 한국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현상으로 추론이 가능하며, 이는 후속 연구를 통해 검증해 볼 수 있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녀의 확인추구지향성은 여전히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영향을 준다는 결과는 많은 시사점을 준다.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는 본문에서 논의되었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부모의 양육태도와 심리적 안녕감
  2.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목표추구지향성
  3. 목표추구지향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4. 연구가설 및 연구 모형
 I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IV. 연구결과
  1. 측정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및 상관관계
  2. 측정모형 검증
  3. 연구모형 검증
  4. 수정모형 검증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형화 Lee, Hyunghwa. 한양대학교
  • 장형심 Jang, Hyungshim. 한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