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f the Service Design Education Materials in Healthcare to Improve Eating Habits
초록
영어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released they would start a project to solve social issues by using service design.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service design are emerging as the important measures to solve from small design tasks to big social issu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data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making the disease prevention contents of medical service design based on the empirical data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30 men and women in their 20s residing in the capital area, from 1 to 15 April 2015. As a result, the reason they preferred vegetables was because they considered most nutrition(86.7%), while the reason they preferred meat taste(90%). That many respondents said they would consult the results as the educational data for proper eating habits, and they are interested in health and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healthy eating habi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using a text and images together or narration and images together is more favorable to deliver specialized knowledge in making educational contents for eating habits. It means the role of the medical service design is especially being emphasized for effective communication. If contents that can educate the adequate amount of meat, of the medical service field, are developed and educated to improve eating habits for prevention of disease and enhancement of health, lifestyle diseases can be prevented through balanced eating habits.
한국어
산업통상자원부는 사회문제 해결 방안으로 서비스 디자인을 활용한 문제 해결 연구개발 사업을 착수 한다고 발표하였다. 서비스 디자인의 개념과 방법론은 작은 디자인 과제에서 큰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실증적 자료조사를 기반으로 의료서비스 디자인의 질병 예방 콘텐츠 제작 시 고려해야하는 기초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20대 남여 30명을 대상으로 2015년 4월 1일-15일까지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결과, 채소를 선호하는 이유가 영양적인 측면(86.7%)을 제일 많이 고려하는 것에 비하여 육류를 선호하는 이유로는 맛의 측면(90%)을 응답하여 20대가 육류를 선택할시 다른 이유보다 고기 맛을 최우선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많은 응답자들이 올바른 식습관을 위한 교육 자료를 참고하겠다는 것은 현재 올바른 식습관을 위한 전문 지식은 없으나 건강에 관심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식습관 변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식습관교육 콘텐츠를 제작 시, 문자와 이미지가 함께 사용되거나 내레이션과 이미지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 전문지식 전달에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의료서비스 디자인의 역할이 특히 강조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료서비스 분야 중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식습관 개선을 위해 육류섭취의 적정량을 교육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해 교육 한다면 균형 잡힌 식습관을 통해 생활습관 질병을 예방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과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서비스 디자인
2.2. 의료 서비스 디자인
2.3. 더블 다이아몬드 프레임워크
3. 식습관 개선 교육용 콘텐츠 국내외 사례
3.1. 미국 연방정부 마이 플레이트(My Plate)
3.2. 보건복지부 식품 구성 탑
4. 실증 분석
4.1. 연구문제
4.2 연구방법
4.2 조사결과 및 분석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