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 독점금지법 개정에 관한 소고

원문정보

Study on the Reform of Japan Antitrust Law

정대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nder the revised Japan Antitrust Law in 2013, they amended the appeal proceedings of dissatisfaction against the judgment of JFTC from second trial to third trial. Accordingly the opinion for revision has emerged in Korea, too. Lawmakers introduced the bill to revise the appeal proceedings of dissatisfaction against the judge of KFTC to third trial. High-level professional expertise is needed when we judge the case because the economic conditions which are the subject of fair trade case are complicated and changeable. Consequently the constitution granted KFTC the status as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agency holding the rights of lawmaker and the rights of prosecutor and adjudicator in order to perform the constitutional competition policy efficiently. Meanwhile KFTC is considered to be run in a very exemplary way among rival authorities around the world. But criticism is that failing of strict law enforcement has caused failing of improvement of monopolistic and oligopolistic market structure. Therefore the prosecutorial and adjudicative procedures of KFTC requires to give KFTC more independent status and strengthen the prosecutorial and adjudicative functions for the strict law enforcement of KFTC. At the same time we have to strengthen the rights of parties in the prosecutorial and adjudicative procedures for the businessmen facing their trial to get the proper judgement reflecting the claim which requires revision. As EU also accepted the prosecutorial and adjudicative procedures of Title 16 Code of Federal Regulations(16 CFR) from the international point of view, the prosecutorial and adjudicative procedures of competitive cases have been standardized focusing on the U.S. law. And the need to standardize the prosecutorial and adjudicative procedures of competitive cases in Korea, China and Japan has been increasing. All things considered we have to examine whether we ought to adopt the independence of law enforcement organ and the rights of parties in the prosecutorial and adjudicative procedures of the U.S. Antitrust Law.

한국어

2013년 일본 독점금지법이 공정취인위원회의 심판에 대한 불복절차를 2심제에서 3심제로 개정하였고,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공정거래위원회의 불복절차를 3심제로 개정하려는 법안이 제출되는 등 개정의견이 대두되었다. 공정거래사건의 대상인 경제현상이 복잡다기하며 변화가 심하므로 사건의 판단을 위해서는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우리 헌법은 공정거래위원회에 준입법권과 준사법권을 가진 독립행정기관으로서의 지위를 부여하여 헌법상의 경쟁정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공정거래위원회는 전세계 경쟁당국 가운데 매우 모범적으로 운영되어 오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법집행이 엄격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독과점적 시장구조가 개선되지 못하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공정거래위원회의 사건처리절차는 오히려 공정거래위원회의 엄격한 법집행을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의 보다 독립된 지위를 부여하고 심판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동시에 개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에서의 주장을 반영하여 심판을 받는 사업자로 하여금 제대로 된 심판을 받을 수 있도록 사건처리절차에 대심적 요소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국제적으로 EU가 미국 연방규제규칙 16편(Title 16 Code of Federal Regulations : 16 CFR)의 사건처리절차를 받아들임에 따라 경쟁사건 사건처리절차는 미국법 중심으로 통일화되어 가고 있으며 또한 한중일의 경쟁사건 사건처리절차의 통일화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미국법의 사건처리절차에서의 집행기관 독립성과 사건처리절차에서의 대심적 요소를 우리법에 반영하는 것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1. 서론
  1.1 일본 독점금지법 개정
 2. 일본 독점금지법 개정배경
 3. 일본 독점금지법 개정내용과 향후전망
  3.1 개정내용
  3.2 향후전망
 4. 우리법에의 시사점
  4.1 심급제도
  4.2 사전심판절차
 5. 결론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정대근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