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 구연동화 활동의 성립과 전파과정 연구

원문정보

김성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owever, there has never been a thorough study of the subject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collecting such diverse information that was developed by spoken language and was rarely recorded in a written format. In my paper, I will examine the development of the storytelling process; as it started and became established in Japan, with a look into the environment of that time. I will introduce the existence of three of the greatest storytellers/lecturers from that time period which have not been studied and discussed before. With this paper, I will bring clarity to the development of storytelling from its beginning and development in Japan and as it propagated into colonial Korea.

한국어

일본의 구연동화 역사는 제국주의의 확대 양상과 함께 특수한 발달형태를 보인 일본의 독자적인 아동문화형태임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문자가 아닌 음성언어로 이루어진 장르의 특성으로 인한 자료 수집 정리의 어려움에 기인하다. 본 연구는 일본에 구연동화활동이 성립, 정착되어 가는 과정을 검토하고 그 양상을 고찰하고자 함에 주된 목적이 있다. 그동안 구체적으로 논의된 적이 없었던 삼대 구연동화가와 삼대 구연동화회 의 존재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최종적으로 일본에서 발생한 구연동화활동이 식민지 조선으로 전파되어 가는 과정을 밝히고 자 한다.

목차

1. 들어가며
 2. 일본 구연동화 활동의 성립
 3. 일본 구연동화 활동의 정착
  3.1 소년세계 강화부의 활동 양상
  3.2 일본 삼대 구연동화가와 삼대 구연동화 연구회
 4. 식민지 조선으로의 전파
 5. 마치며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김성연 玖珠町久留島武彦研究所 所長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