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정책확산모형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확산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Policy Diffusion Model : Focusing on Participatory Budgeting

이정철, 권혁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characteristics and pos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a policy diffusion model employing cases of participatory budgeting in Korea. According to policy diffusion model, it demonstrates cumulative S-curve in terms of time dimension. In terms of spacial dimension, it shows regional concentration. Likewise, it demonstrates commonality amid diversity in terms of its content. Extant studies further argue that major factors of policy diffusion include policy learning, competition, and mimicking among neighboring actors. Howev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xisting policy diffusion model may not be a good candidate to explain diffusion process of participatory budgeting in Korea. That is, although the cumulative S-curve works, when regional concentration does not occur, existing policy diffusion model cannot comfortably explain the policy diffusion since it does not consider regional concentr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확산사례를 통해 정책확산모형의 현상적 특성과 적용가능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정책확산모형의 현상적 특성인 시간적 차원에서 정책채택의 누적빈도그래프 가 S-곡선(curve)형태이며, 공간적 차원에서 정책의 채택 및 확산과정에서 지리적 집중성 (regional concentration)이 존재하고 있으며, 내용적 차원에서 공통성(commonality amid diversity)이 존재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정책의 주요 확산요인인 정책학습과 경쟁, 모방에 의 한 것인지에 관해 의문을 제기할 수 있는데, 한마디로 정책확산모형 이론을 현실에 그대로 적용 하기에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S-곡선은 수렴한다고 할지라도, 지리적 집중성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 정책확산모형을 활용해 정책의 확산을 설명할 때 모순이 발생하게 되고, 정 책의 확산과정에서 지역적 특수성을 설명하지 못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정책확산모형
  2.2. 사례소개: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도입과 확산
 Ⅲ. 연구설계
  3.1. 분석방법
  3.2. 자료수집 및 연구범위
 Ⅳ. 정책확산모형에의 적용가능성 분석
  4.1. 시간적 차원
  4.2. 공간적 차원
  4.3. 내용적 차원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정철 Jung Chul Lee. 중앙대학교 행정학과 박사과정 수료
  • 권혁준 Hyuk Joon Kwon. 중앙대학교 행정학과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