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대통령 선거에 있어 미디어 콘텐츠 유형이 유권자의 투표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유권자의 이원 경험 영향 모델

원문정보

Roles of Media Content on Voters’ Mobilization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 The Influence Model of Dual Experience

전종우, 김하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s roles of media content on audiences’ attitudes, para-social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During the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period,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Korean college students as a sampl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consumptions of both information content and entertainment content influenced voters’ cognition and affect, and theses cognitive and affective responses influenced para-social interaction with supporting candidates. Further, cognition affected voting intentions directly, but, this study failed to fin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affect and voting intentions, and para-social interaction did not influence voting intentions. The results can be called as the influence model of dual experience, and the model could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한국어

본 연구는 미디어 콘텐츠를 정보 콘텐츠와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로 나누어 이용자들의 인지, 감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 효과를 알아본 것이다. 한국에서 치러진 대통령 선거 기간에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정보 콘텐츠과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이용 경험 모두가 유권자의 인지와 감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인지와 감성적인 반응은 자신이 지지하는 대통령 후보와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 인지는 유권자의 투표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는 감성과 투표의도, 그리고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투표의도 간의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검증하는 데에는 실패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미디어 콘텐츠 이용과 관련한 이원 경험 영향 모델로 명명하며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의 학문적인 시사점과 함께 선거와 관련한 실무적인 시사점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선거와 미디어
  2) 기존 경험
  3) 유권자 태도
  4) 준사회적 상호작용
 3. 방법론
  1) 표본
  2) 측정
 4. 결과
  1) 미디어 콘텐츠 이용 경험 분류
  2) 모델 검증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종우 Jong Woo JUN. 단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 김하나 Hana KIM. 단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