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산림정책융합에 관한 연구 : 산림이용·개발 및 보전의 융합패러다임으로의 변화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olicy Convergence of Forest Policy : A Paradigm Sift to Convergence between Forest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장제원, 박용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accordance with importance of the economic value of forests and forest use, the paradigm of development and use has emerged as the dominant paradigm of forest policy. As forests are recognized as an important means of Wellness, the government pursues a policy convergence between forest use and conservation. So, this article analyzed whether the change of forestry convergence paradigm is reflected in policy or no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whether the new combined text value are fused in how forest polic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function of utilization which is off the traditional forestry industry and recreation, wellness are acquired a greater importance in the 5th plan than 4th plan. But the 5th plan is insufficient to establish of foundation for forestry management and welfare functions. The evidence suggest a sign of sustained paradigm convergency in forest policy of Korea. As the policy implication in establishing national forest master pla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olicy capability to pursue sustainable forestry utilization, which can converge forest use and conservation.

한국어

산림의 경제적 가치의 중요성에 따라 산림이용과 개발의 패러다임이 산림정책의 지배적 패러다임으로 등장 하였다. 산림이 웰니스의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면서 이용과 보전의 융합이 모색되었고 산림정책의 패러다임도 산 림을 이용한 휴양, 복지 및 웰니스(wellness) 등 새로운 정책가치들을 지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림정책에 새로운 가치들이 어떻게 융합되었는지를 컨텐츠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이 결합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분석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제4차 산림기본계획에 비해 제5차 산림기본계획에서는 임산물 생산에서 벗어나 산림이용과 산림휴양기능이 강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림을 통한 치유, 건강, 산림의 복지적인 기능 등에 대한 정 책과 산림이용과 보전이 융합된 경영기반 마련에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의 산림정책에서 지속가능한 융합 패러다임이 보이고 있다. 정책적 함의로서 국가산림기본계획 수립에 있어 산림이용과 보전을 융합할 수 있는 정책역 량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할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산림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2.2 산림기본계획의 내용과 변화
  2.3 선행연구의 고찰
 3. 연구설계
  3.1 분석방법론
  3.2 분석자료
  3.3 분석절차
 4. 분석결과
  4.1 제4차 산림기본계획의 네트워크 분석
  4.2 제5차 산림기본계획의 네트워크 분석
  4.3 산림정책패러다임 변화와 제5차 산림기본계획
 5. 결론
 REFERENCES
 Appendix. Key Index of Concepts in Network

저자정보

  • 장제원 Je-Won Chang. 단국대학교 행정학과
  • 박용성 Yong-Sung Park. 단국대학교 행정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