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독서 교육 지원 시스템 정착 방안

중등학교현장에서의 독서인증제도 활용 방안

원문정보

The Applications of Reading Attestation System in the Secondary School

성태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owadays,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trying to collect students' reading record files because the Ministry would like to induce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to read intensively and to habituate the reading appreciation. Each high school set must books in this system, then teacher will make the records after applying them to classes. Universities will judge whether they use the score or not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This system dropped some hints to us. Reading activities of this system will be enlarged from the subject of Korean field to all subjects fields, and it will be systemized and optimized harmonizing with students' capabilities. Next, learning effects linked among contents of school work will be the maximum efficiency through the reading activities.
Therefore, it goes to show two plans as the applications of reading attestation system in the secondary school field in this study. At First, it is a method that a reading attestation writing score is going to be added up to the result of reading activities. Second, it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must books of each level. This second plan divided into three types, which have no difference on the side of being like general qualification tests.

한국어

교육당국이 독서이력철을 추진하고 있는 배경에는 지식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폭넓은 독서문화를 유도하고, 효과적인 독서환경을 조성하여 양서를 통한 독서감상을 생활화해 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했다.
이러한 독서이력철 내지 독서인증제도의 운영방향은 우선 각 고교별로 교과별 필독 · 권장도서를 선정, 수업에 활용한 뒤 교과담당 또는 담임교사가 평가해 학생부에 기록하게 된다. 대학은 고교로부터 이 자료를 받아 어느 정도로 대입전형에 반영할지 자율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독서이력철이나 독서인증제도 추진은 몇 가지 면에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다.
첫 번째는 독서활동이 그간 국어교과 위주의 독서 수준에서 전교과 영역의 독서 수준으로 확대된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단계별로 읽도록 제도화된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교과의 내용과 연계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점 이 다.
이러한 점에 의의를 두고 본고에서는 중등학교현장에서의 독서인증제도 활용방안으로 크게 2가지를 제시하였다. 제1안은 독서인증시험(지필평가)에다 독서활동 결과를 점수화하여 이를 합산한 후 급수를 인증해주는 방안이다. 이는 독서 인증시험을 독서활동에 연계하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 2안은 각 급수별로 독서인증시험 대상 도서를 주고 평가하는 방안이다. 이 방안은 다시 평가의 유형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두어 3가지 방안으로 구체화시켰지만 일반적인 자격시험 형태를 취하고 있다는 점에 서 큰 차이가 없다.
이제 독서인증제도는 우리의 교육의 한 중심에 서 있다. 그간의 학교교육에서 독서교육은 미흡한 것이 많았다. 그 이유가 입시제도 때문에 밀려나 있건 아니면 독서여건 기반이 미흡하였든 간에 독서의 환경은 예전의 상황이 아니다. 이제부터라도 독서교육의 역할과 그 중요성에 대해 정말 심각하게 생각할 때가 되었다고 본다. 아무리 첨단 과학이 발달할지라도 독서의 의미와 그 가치는 너무너무 필요한 세상이 되었기 때문이다.

목차

1. 머리말
 2. 독서인증제도 실시 방안
  2.1. 독서교육과 독서인증제도
  2.2. 독서인증제도 추진 현황
 3. 독서인증제도 효율적 활용 방안
  3.1. 독서인증제도 운영과정안
  3.2. 독서인증제도 효율적 활용방안
 4.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성태모 Sung, Tae-Mo. 전남 능주고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