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신문 변형광고의 시지각적 주목도게슈탈트(Gestalt)이론을 기반으로 지면에서 형태, 면적 및 위치 분석

원문정보

Attention Effect of Transformed Advertisement - Analysis of Newspaper Design with Using Shape, Area and Position under The Visual Perception of Gestalt's Law -

김인경, 이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nlike in the past, newspapers are not only sources of information and all provide news and information bringing us and our lives closer to such information. A various news channels and new devices has gone down due to the effectiveness of its role. Therefore, traditional newspaper try to cope with various attempts for hosting and maintenance of advertising to have a commercial purpose. Accordingly, the newspaper advertisement should be eye-catching and memorable which is for running counter to the usual advertisement method. To achieve this goal, newspaper advertisement should be effective at attracting consumers' attention. However, newspaper industries are only focused on immediate visual effects with its form. In the meantime, this phenomenon is not able to be consistent and efficient ways that can take advantage of. Because human visual perception is in relativity difference. In this respect, this study suggest rational transformed advertisement as the best possible alternative through comparing with visual elements around the newspaper layout. Transformed advertising means that the deviation of the type or insertion method of newspaper advertising from the common specifications. A theoretical study are interpreted in newspaper, transformed advertisement, visual perceptive cognition and Gestalt's law which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s. In accordance with Gestalt's law, this study focused on two laws; Law of grouping, Figure-Ground Relationship. As the result from the study, transformed advertisemen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visual effect if it persisted on just the transformation of the advertisement type without comparing with other visual elements in layout. The core conclusion drawn from study is that the transformed advertisement need to be arranged by the visual elements of shape, area, and position with using Gestalt's law in layout for better visual perceptive cognition. Because people have a perception psychology that collectivizes the form of a subject and recognize the whole unified figure before recognizing the parts when they get visual stimul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law of visual perception, from a logical and psychological point of view, should be the first thing to consider in the basics of newspaper in order to make a newspaper advertisement a highly persuasive one.

한국어

현재 종이신문은 다양해진 뉴스채널과 급변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로 인해 그 역할의 효용성이 많이 약해졌다. 이에 대항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 중 종이신문이 상업적 목적을 갖게 하는 광고의 유치 및 유지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신문사에서는 전통적 방식의 광고 형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광고 형태를 변형으로 제안하며 이를 통해 독자들이 광고에 좀 더 집중할 수 있는 효과를 보고자 한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은 변형광고를 지속적이면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되지 못한다. 인간의 상대적 시지각 인지를 고려해 볼 때 주목도를 위한 조형의 관계를 형태 자체의 문제가 아닌 주변 시각요소들과의 관계성을 통해 비교 분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문 레이아웃에서 변형광고를 대상으로 주변 시각요소들과의 비교를 통한 주목도를 연구하여 보다 실질적인 변형광고의 활용 지침을 제안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기반으로 신문과 변형광고의 개념 그리고 인간의 시지각 인지 및 형과 시각적 표현에 관계하는 게슈탈트 조형이론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분석 연구에서는 변형광고 유형이 신문 레이아웃에서 내부 시각 요소들과 관계하여 어떻게 조형적으로 디자인되어야 주목도를 높일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한 과정으로 신문사별 광고유형을 조사하여 변형으로 인지되는 광고의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지면 내부 시각요소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주목도를 형태, 면적 및 위치의 요인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게슈탈트 조형이론 중 집단화 법칙과 전경과 배경의 법칙이 중심 이론으로 적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변형광고의 주목성은 형태, 면적 및 위치의 요인이 주변 시각요소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변형광고의 성격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요인이 다른 결과로 이러한 분석은 지금까지 편집기자의 경험과 주관으로 이루어지던 신문 레이아웃 디자인을 보다 객관적인 시각으로 접근하여 효과적으로 변형광고를 활용할 수 있는 지표를 마련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이는 변형광고가 변형의 형태만으로 정의 내려지고 활용되어져서는 안되며 변형광고와 주변 시각요소들과의 조형에 대한 접근이 상대적일 수 있다는 원리를 통해 인간의 시지각적 인지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및 방법
 2. 선행연구 조사
  2.1. 신문의 정의 및 구성
  2.2. 신문의 판형과 광고의 규격
  2.3. 변형광고의 개념 연구
  2.4. 시지각 인지
  2.5. 게슈탈트 조형이론
 3. 분석연구
  3.1. 조선일보의 변형광고
  3.2. 중앙일보의 변형광고
  3.3. International Herald Tribune의 변형광고
  3.4. The Guardian의 변형광고
 4.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인경 Kim, In kyung.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박사과정
  • 이현주 Lee, Hyunju.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