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용업 종사자의 근로계약체결 및 최저임금적용실태와 직무만족

원문정보

The Actual Conditions of Employment Contracts and Minimum Wages and Job Satisfaction among Employees in the Beauty Industry

박다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ims to find the actual condition of employment contracts and minimum wages among employees in the beauty industry; to identify the effects of its characteristic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empathize the need of applying the minimum wage system and better working conditions to the beauty industry. A total of 39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ntended for employees working in beauty shops in Daegu. The SPSS 19.9 for Window program was used. The results show that small-scale beauty shops didn't have employment contracts more often; employees in beauty shops were hardly aware of the minimum wage system; and the majority of shops had not been supervised by labor supervisors. Regarding demographic factors, gender, marital status, and age didn't affect their job satisfaction, while the higher level of education they had, the better personal satisfaction they showed regarding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Considering making contracts, those who closed the employment contract and whose contract was done in writing appeared to have higher job satisfaction and they showed various levels of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ir working conditions. Lastly, with regard to observing the minimum wage system,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the shops that complied with the system got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미용업 종사자의 근로계약체결 및 최저임금적용실태를 파악하고 이러한 특성에 따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미용 산업현장에서의 인적자원인 종사자의 최저임금 적용강화 의식과 근로조건 보호방안의 필요성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의 미용실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최종 391부의 설문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고, SPSS 19.9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근로계약을 하지 않은 소규모 영세한 미용실이 많이 나타났고 미용업 종사자가 최저임금제도를 상당부분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관리 감독 받지 않은 미용실이 대다수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는 성별, 결혼여부, 연령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력에 따른 직무만족 차이는 학력이 높을수록 개인만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며, 근로계약서 체결 여부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근로계약서 체결 및 서면계약이 직무만족도 높게 나타났고 근로환경에 따라 직무만족도 차이를 보였으며 최저임금준수 여부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는 최저임금제도를 준수하는 근무지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근로계약
  2.2 최저임금제도
  2.3 직무만족
 3. 연구방법
  3.1 연구문제
  3.2 용어정의
  3.3 연구대상
  3.4 측정도구
  3.5 자료분석
 4. 결과 및 고찰
  4.1 미용업 종사자의 근로계약체결 및 업무 관련 실태
  4.2 미용업 종사자의 최저임금제도 관련 실태
  4.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4.4 근로계약서 체결 여부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4.5 최저임금준수 여부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다영 Park, Da young. 대구가톨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뷰티코디네이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