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실과 교과서의 의생활안전교육내용 분석과 초등예비교사의 의생활안전에 관한 인식 연구

원문정보

Analysis of clothing life safety education in practical arts textbooks and stud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clothing life safety

이윤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provide fundamental resources for safety education in practical arts and clothing as safety education section is newly established in the recently revised curriculum of 2015. The research contains the analysis of safety contents of twelve practical arts textbooks and posits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fiftee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clothing safety through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the following. Firstly, safety element of clothing life in practical arts textbooks are closely related to 'life safety'. Within 'life safety' area, 'physical activity' contents appear most frequently and are followed by 'occupational safety', 'traffic safety','disaster safety' and 'violence and personal safety'. Clothing life safety content proposed in the practical arts textbooks mainly focus on practice instead of principles such that causes and methods are unknown and require supplementation. Hence, safety contents related to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clothing are in need of further development. Secondly, the results from in-depth interview on clothing life safety education conducted with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 that teachers' experience and their level of safety performance are very insufficient and perception on clothing life and safety is found to be fragmentary. Teachers demonstrate sound knowledge on clothing and protection equipment needed in leisure and sports activities, but they show insufficient level of perception on daily-life clothing life safety. Furthermor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lothing life safe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under pretext of improving students' preception and habit of clothing life safet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lay a vital role in students' clothing life safety education, so in-depth education on general knowledge and principle of clothing life safety education is needed. This study further proposes survey on perception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clothing life safety and analysis of textbooks for all grades, so that in sum, this research put forward persistent research on clothing life safety education, which is needed for development of contents related to clothing life and safety education.

한국어

이 연구는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 실과교과에 안전단원을 신설하여야 함으로 실과 의생활영역에서의 안전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시행되었다. 연구내용 및 방법은 실과교과서 12권에 반영된 의생활안전내용을 분석하였고, 15명의 예비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의생활안전에 대한 인식을 면접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교과서 의생활영역의 안전교육내용요소는 ‘생활안전’과 가장 관련성이 많았다. ‘생활안전’영역 중에서도 ‘신체활동’영역의 내용요소 가장 많았고, ‘직업안전’, ‘교통안전’, ‘재난안전’, ‘폭력 및 신변안전’의 순으로 많았다. 교과서에 제시된 의생활안전내용은 원리보다는 실행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으므로 원리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고, ‘옷의 생산과 관리’측면에서의 안전내용요소가 더 개발되었으면 한다. 둘째, 예비초등교사들의 의생활안전교육에 관한 심층면접 결과, 예비초등교사들은 의생활안전교육의 경험과 의생활 안전수행도는 매우 부족하였고, 의생활과 안전에 관한 인식도 단편적이었다. 여가활동이나 스포츠 활동에 필요한 옷과 보호 장비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었으나, 일상생활에서의 의생활안전에 대한 인식은 부족하였다. 또한 예비초등교사들은 초등학생들의 의생활안전에 대한 습관과 인식 향상을 위해 초등교육에서 의생활안전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예비초등교사들은 초등학생들의 의생활안전교육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의생활과 안전교육에 대한 심도 있는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의생활안전에 대한 인식조사와 학교급별 교과서분석 및 의생활안전교육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기를 제안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안전교육과 안전교육 내용체계
  2. 안전과 의생활
 Ⅲ. 연구 방법
  1. 교과서 분석
  2. 예비초등교사들의 의생활안전에 관한 인식 연구
 Ⅳ. 연구 결과
  1. 2009 개정교육과정 실과교과서의 의생활안전교육내용 분석 결과
  2. 예비초등교사들의 의생활안전에 대한 인식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윤정 Lee, Yun-Jung. 경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