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is a result of my research about the linguistic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image, which is based on an educational product of the VIE(Videography In Education) program aimed at youths. At the times of needs in proper image-literacy education, especially at this video era, the result of VIE program through text and image shows semiologic and linguistic relationship and functions between the two of them. While literary message is generated from the combination of text and image, Peirce's 3 types of classification can be referred to – Icon, Index, and Symbol - which defines interrelation of text and image. Those 3 types are determined by mutual priority of text and image, and also can be applied to works of students. In the student’s images and poems, We can find very developed works from Iconic works which are directly linked to images to symbolic works which are searching for the metaphorical linking point beyond first signification even though images and poetic words look like that they don’t have anything in common. Developmental orientation that take advantage of this VIE activities can be presented with educational strategies. those are activation of indicator characteristic which is in the iconography of video images and moving symbolic characteristics to the realms of indication for the connection of images and poetic words. The Key points are how to continue the tensional beauty of metaphor maintaining appropriate iconography of photography and symbolism of poet. This advantage is why image literacy should back up education in VIE. This study finds out youths' linguistic creativity making best use of text and image, in semiotic consideration of works of students. Thus, it has meaning in terms of the aspect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As a result, the images do not only contain the representation of reality in every life, but express specific information and semiotic implications. and images also enable us to have emotional and literary communication over the difference of text and languages. The VIE is an integrated media literacy education covering a healthy imagination and linguistic features of literary text in the image.
한국어
본 논문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VIE 프로그램의 교육성과를 바탕으로 텍스트와 이미지와의 언어와 문학적 관계를 연구한 결과다. 디지털 영상 시대를 맞아 올바른 이미지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한 시점에서 텍스트와 이미지를 활용한 VIE 프로그램의 결과는 양자간의 기호학과 문학적인 관계와 기능을 보여준다. 텍스트와 이미지의 통합으로 메시지가 창출되는데 이 때 퍼스(Peirce)의 텍스트와 이미지의 상호 관계를 정의한 세 분류인 도상, 지표, 상징이 등장한다. 텍스트와 이미지의 상호간의 우선권에 따라 결정되는 이 3가지 종류의 분류는 학생들의 작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학생들의 영상 이미지와 연결된 시를 보면 이미지에 직설적으로 연결된 도상과 같은 작품에서부터 이미지와 시어가 전혀 동 떨어져 보이지만 1차 의미작용을 넘어 은유적 연결 접점을 찾아 상징으로 발전한 작품까지 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제시할 수 있는 영상활용교육(VIE)의 발전적 지향점은 영상 이미지의 도상성 속에 내재된 지표적 특성을 활성화시키고, 시어는 이미지와의 연결성을 위해 상징적 특성을 지표적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교육적 전략이다. 여기서 핵심 사항은 사진의 도상성과 시의 상징성을 어떻게 적절히 유지하면서 은유적 긴장미를 지속시켜 나가느냐에 있다. 이점이 VIE 교육에서 이미지 리터러시가 뒷받침되어야 하는 이유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작품을 기호학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텍스트와 이미지를 활용한 청소년들의 언어적 창의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이미지 리터러시 측면에서 의미를 전환시키려 한다. 결과적으로 이미지는 일상의 실제 대상물을 담아내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기호학적으로 구체적 내용과 함축된 의미를 가진 표현물이며 문자와 언어가 가지는 차이를 초월해 감성적이고 문학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해준다. VIE 리터러시 교육은 이미지의 상상력과 문학적 텍스트의 건강한 언어적 기능까지 포괄하는 통합적 영상 미디어 교육이다.
목차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