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죽은 자의 목소리 : 영화적 발화의 구성 연구

원문정보

Voice of the Dead - A Study of Cinematic Address -

남수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essay focuses on auditory experiences around acts of addressing through various voices of cinema. More specifically, it contemplates the essence of cinematic reason or thinkability that opens up through different levels of spaces constructed by such addresses. Voice in cinema is objet a which does not have a clear image, but functions as a locator of camera-image in a specific space and time at the same time. Nevertheless, gaps inherent in cinematic sounds prove themselves in-between places between sense and reason where the cinematic subject expands his/her being and/or alienates him/herself. Which explains the ambivalence of cinematic effect as subjectification and de-subjectification. In other words, the cinema reflects reasons without subjecting to one master Subject. This article presents voice an ambivalent model of thinking reflecting two different perspectives: the one from psychoanalysis and the other from the idea of total-cinema. The former explicates the way in which cinematic voices testify to the trauma of self-alienation by revealing the black-hole in the infantile memory. The latter provides the technique of synchronization for locating the subject outside the cinematic text. That is, synchronized voices presuppose an ideal subject connecting both the subject in diegesis and the empirical subject outside, which concerns the myth of automatic thinking as the ultimate form of world representation. In the course, we are reminded of the kernel of split where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constantly overlap. To sum up, the meaning of this study lies in its attempt to overcome theories biased upon visual images, and to rediscover the role of sounds mediating time and space lost in the meaning-centered system of language. Synchronization becomes norm in cinema not because it resembles our 'natural' experiences which are continuous, but because it hides what is repressed, i.e. the lost origin. More importantly, voice opens up an impossible space for the subject where he/she manages to face his/her ideal self. Likewise, through the inherent non-synchronicity the sound in the cinema represents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the thinking subject.This article presents voice an ambivalent model of thinking reflecting two different perspectives: the one from psychoanalysis and the other from the idea of total-cinema. The former explicates the way in which cinematic voices testify to the trauma of self-alienation by revealing the black-hole in the infantile memory. The latter provides the technique of synchronization for locating the subject outside the cinematic text. That is, synchronized voices presuppose an ideal subject connecting both the subject in diegesis and the empirical subject outside, which concerns the myth of automatic thinking as the ultimate form of world representation. In the course, we are reminded of the kernel of split where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constantly overlap. To sum up, the meaning of this study lies in its attempt to overcome theories biased upon visual images, and to rediscover the role of sounds mediating time and space lost in the meaning-centered system of language. Synchronization becomes norm in cinema not because it resembles our 'natural' experiences which are continuous, but because it hides what is repressed, i.e. the lost origin. More importantly, voice opens up an impossible space for the subject where he/she manages to face his/her ideal self. Likewise, through the inherent non-synchronicity the sound in the cinema represents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the thinking subject.

한국어

본 논문은 영화의 목소리를 발화 행위의 매개로 간주하고 그 행위를 둘러싼 청각적 경험에 주목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그러한 경험을 둘러싸고 변화, 조직되는 공간(영화적 세계)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그를 통해 열리는 영화적 사유의 본질을 추측하고자 한다.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영화에서 소리는 어느 한 공간과 시간에 기반을 두지 않음으로써 실체를 지닐 수 없는 ‘타자’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카메라-이미지라는 물적 존재로서의 시각이미지를 특정 장소에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목소리가 내포하는 ‘간극’은 분열과 확장의 공간으로서 영화적 경험을 감각과 의식 사이의 사이-공간으로 재평가하게 하는데, 따라서 영화의 목소리는 주체와 탈-주체라는 타협될 수 없는 양가성을 지닌다. 이는 결국 영화가 고정된 주체에 종속되지 않은 채 사유를 반영하고 증폭시키는 모델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영화의 청각적 경험이 시각적 재현의 합일성에 기여한다는 전통적 시각에서 벗어나, 목소리를 공간적 의미에서 양면적이고 양가적인 사유 주체의 모델로 제시하는 데, 이 글이 선택한 경로는 크게 두 가지다. 정신분석적 사고는 영화의 목소리가 어떻게 자기 안의 구멍을 상기시킴으로써, 자기 분열의 트라우마를 증언하는지 설명해줄 것이다. 한편, 완전영화라는 측면에서 동기화(synchronization)의 기술은 주체를 외부에 설정함으로써 재현한다. 동기화된 목소리는 영화 안의 주체(디제시스 속 주체)와 밖의 주체(관람 주체)를 관통하는 이상적 주체의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는데, 이는 자율적으로 사고하는 기계적 사유의 신화와 다시 연결된다. 인간의 사유마저 복제하는 완전 영화의 신화는, 끊임없이 내부와 외부가 중첩되는 분열의 중핵을 상기시킨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의미는 자아중심적 시선에 근거한 영화 이미지론을 극복하고, 의미 중심적 언어학적 체계를 넘어 잃어버린 시간과 공간을 매개하는 역할로서 목소리를 재발견하는 데 있다. 소위 ‘완전 영화’의 신화를 추종하는 오늘날의 영화가 현존하는 소리를 반영하는 것, 즉 시각이미지와 청각이미지를 동기화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여겨지는 것에 비해, 이러한 청각이미지가 어떤 방식으로 ‘의미화’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기 때문이다. 이글은 영화에서 동기화가 규범이 된 것은 그것이 ‘자연스런’ 현실의 경험과 일치하기 때문이라기보다, 청각의 감각이 억압된/상실된 기원을 감추면서도 그 빈틈을 드러내기 때문이라 주장한다. 다양한 소리들이 투사되는 공간으로서의 영화의 시각 이미지는 그 생생함의 여부에 관계없이 이미 과거의 상태를 전제할 뿐만 아니라 그 대상과의 물리적 거리를 증명한다. 그렇게 영화의 소리는 그 내재적 비동시성을 통해 언어와 사유 주체 사이의 관계를 재현하고 있다.

목차

1. 영화적 발화 : 사유 주체의 (불)가능성에 대하여
 2. 소리의 주인은 어디에 있는가?
 3. 결론 : 공존의 공간을 위하여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남수영 Nam, Soo-Young. 한국예술종합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