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활석비짐 무문토기의 고고과학적 특성 : 천안 백석동 고재미골 유적

원문정보

Archaeological Scientific Characteristics of Patternless Pottery with Talc Temper : Baekseokdong Gojaemigol Site in Cheonan, Korea

김수경, 이찬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atternless potteries excavated from the Baekseokdong Gojaemigol site in Cheonan, was subdivided into talc and non-talc (including amphibole) type pottery. The potteries showed black, reddish brown and yellowish brown colors, but represent to difference with occurrences and internal texture of raw materials and temper minerals. The all potteries and paleosoils are commonly high content of temper minerals with poorly sorting and roundness of particles, and the paleosoils composed mainly of quartz, plagioclase, mica, chlorite and kaolinite. Between the talc and non-talc type potteries are very similar with magnetic susceptibility, absorption ratio and specific gravity. Geochemical behaviors of major, minor, compatible and incompatible elements in talc pottery are very similar with amphibole, non- talc pottery and paleosoils, and well correspondence with enrichment and deficiency patterns of each element, and the talc and amphibole potteries are highly enriched patterns of MgO concentration. In paleosoils of Gojaemigol site, talc and amphibole are not detected, thetemper minerals of talc and amphibole used interbedded talc layer within gneiss complex near the Baekseokdong area. Based on the phase relations, differential thermal and thermal gravimetric analyses, the potteries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y firing temperature. The one group of talc temper pottery fired from 800 to 870℃ and the other group of amphibole and non-talc temper pottery revealed of 900 to 950℃.refore, making the pottery of the site estimate the possible to artificial additions of the temper minerals of talc and amphibole used interbedded talc layer within gneiss complex near the Baekseokdong area. Based on the phase relations, differential thermal and thermal gravimetric analyses, the potteries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y firing temperature. The one group of talc temper pottery fired from 800 to 870℃ and the other group of amphibole and non-talc temper pottery revealed of 900 to 950℃.

한국어

천안 백석동 고재미골 무문토기는 활석계와 비활석계로 나눌 수 있으며 비활석계는 각섬석계를 포함한다. 이들은 태토와 비짐의 산출상태 및 내부조직에서 뚜렷한 차이점은 관찰되지 않으며 색상에 따라 흑색과 적갈색 및 황갈색으로 나타난다. 또한 공통적으로 비짐의 양은 많으며 분급은 불량하고 원마도도 낮다. 유적지 토양에서는 녹니석과 석영, 사장석, 고령석, 운모류가 동정되었고 원마도와 분급은 불량하다. 활석 및 비활석 토기 간의 대자율과 흡수율 및 가비중은 큰 차이 없이 넓고 고른 영역에 분포한다. 활석 토기의 주성분원소 거동특성은 비활석 및 각섬석 토기와 유사하며 원소의 부화와 결핍 양상도 일치한다. 다만 MgO는 활석 및 각섬석 토기에서 크게 부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희토류, 호정 및 불호정 원소의 거동특성 또한 모든 종류의 토기가 유사하였으며 토양에서도 큰 차이는 발견되지 않는다. 고재미골 유적 지 토양에서는 활석과 각섬석이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토기제작에는 인위적으로 첨가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백석동 일대의 편마암복합체에는 활석층이 협재되어 있어 이를 사용했을 개연성이 충분하다. 그러나 태토의 상전이와 열분석 결과로 볼 때, 토기의 소성온도는 서로 달라 활석혼입 토기는 800∼870℃의 범위를 보이며, 비활석 및 각섬석 토기의 소성온도는 900∼950℃의 범위로 추정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현황 및 연구방법
  2.1. 현황
  2.2. 연구방법
 3. 결과 및 해석
  3.1. 전암대자율
  3.2. 실체 및 편광현미경 관찰
  3.3. 가비중 및 흡수율
  3.4. 광물조성 및 상전이
  3.5. 열분석
  3.6. 지구화학적 거동특성
 4. 고찰
  4.1. 활석비짐의 의미
  4.2. 태토조성과 소성온도
  4.3. 제작기법과 원료검토
 5. 결언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수경 Su Kyoung Kim.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이찬희 Chan Hee Lee.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