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커뮤니티 댄스의 역사와 전망

한국 커뮤니티 댄스의 근원, 흐름, 확장

원문정보

Origin, Development, and Expansion: A Brief Argument on Terminology and History of Korean Community Dance

최해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n English terminology ‘community dance’ could be translated into Korean “Ji-yeok-sa-heo-ui-chum (Dance based Community)” or “Gong-dong-che-ui-chum (Communal Dance).” These kinds of community dance including “Ji-yeok-sa-heo-ui-chum” or “Gong-dong-che-ui-chum”, were nothing new at all, because they have been existed in every society and in every time. However, with boom of community dance in current Korean society, most Korea people are expecting that there are specifical meanings like ‘public concerns’ and ‘artistic valu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meanings of community dance while how this terminology is consumed by both in Korean popular society and Korean dance societ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uses date analysis methodology. That is, the researcher analyzes data of news clippings and dance research list concerned with community Then, the researcher sums up the brief history of Korean community dance with external and internal approaches. In the historical approach, the researcher argues that how the term and methods of England community dance were combined with Korean communal dance. In the conclusion, the researcher suggests perspectives of Korean community dance.

한국어

영어의 ‘커뮤니티 댄스’는 ‘지역사회의 춤’ 혹은 ‘공동체의 춤’으로 번역된다. 어느 시대, 어느 사회를 막론하고 ‘지역사회의 춤’이나 ‘공동체의 춤’은 존재하여 왔다. 그러나 대중들은 외래적 의미의 ‘커뮤니 티 댄스’가 내재적 의미의 ‘공동체의 춤’을 뛰어 넘어 ‘공공성’ 혹은 ‘예술성’을 지향하고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하는 것 같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문화와 무용계에서 소비되고 있는 커뮤니티 댄스의 현재적 의미를 짚어보고, 한국 커뮤니티 댄스의 흐름을 현재의 시점에서 정리해 두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를 위해 연구자는 현재 사회적으로 드러난 사실로부터 무용계 내부로 시점을 이동시키면서 커뮤니티 댄스에 대한 사회적 통념과 무용학적 개념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커뮤니티 댄스의 역사적 흐름 을 외래적, 내재적 측면에서 추적하며, 종래의 지역사회 춤 혹은 공동체의 춤이 어느 시점에서 혹은 어떤 맥락에서 영어의 커뮤니티 댄스로 도치되었는지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커뮤니티 댄스’라는 용어에 대한 논의
  1. 언론매체에서의 커뮤니티 댄스
  2. 학술연구에서의 커뮤니티 댄스
 III. 한국 커뮤니티 댄스의 역사적 흐름
  1. 외래적 근원: 영국의 커뮤니티 댄스
  2. 내재적 근원: 한국의 공동체 춤
  3. 내재적 토대 위의 외래적 수용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해리 Choi, Haeree. 한국춤문화자료원 공동대표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