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Global Saemaul Spirit Practice Program
피인용수 : 0건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본 연구는 글로벌새마을정신 실천 프로그램 연구학교 운영사례를 소개하고, 글로벌새 마을정신 실천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효능감, 공동체의식,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북에 위치한 초등학교의 3학년부터 6학년 까지 아동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각각 3,4학년 40명, 5,6학년 45명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아동에게 자기효능감, 공 동체의식, 세계시민의식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WIN Program 21.0을 활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t-검증, 공변량분석(ANCOVA)으로 통계처리하였다. 교사와 학부모에게는 면담과 평가회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근면ㆍ자조ㆍ협동ㆍ나눔ㆍ봉사ㆍ창조의 글로벌새마을정신 실천이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같은 개인역량 강화에 효과가 있었으며, 아동의 공동체의식 및 세계시민의식 함양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글로벌 새마을정신 실천 프로그램 연구학교 운영사례는 지역의 특색있는 창의적 체험활동 학습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관련 인성교육 프로그램 및 지도방법 개발에 기여하여 지역의 교육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선행연구 고찰
1. 지역의 새마을정신 관련 교육사례 고찰
2. 아동의 자기효능감, 공동체의식, 세계시민의식에 관한 연구 고찰
3. 운영평가에 관한 연구 고찰
Ⅲ. 연구학교 현황 및 운영 프로그램
1. 연구학교 현황
2. 운영 프로그램의 개요
Ⅳ.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측정도구
4.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글로벌새마을정신 실천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2. 글로벌새마을정신 실천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3. 글로벌새마을정신 실천 프로그램이 아동의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4. 글로벌새마을정신 실천 프로그램 적용 후 학부모와 교사가 본 아동의 변화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선행연구 고찰
1. 지역의 새마을정신 관련 교육사례 고찰
2. 아동의 자기효능감, 공동체의식, 세계시민의식에 관한 연구 고찰
3. 운영평가에 관한 연구 고찰
Ⅲ. 연구학교 현황 및 운영 프로그램
1. 연구학교 현황
2. 운영 프로그램의 개요
Ⅳ.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측정도구
4.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글로벌새마을정신 실천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2. 글로벌새마을정신 실천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3. 글로벌새마을정신 실천 프로그램이 아동의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4. 글로벌새마을정신 실천 프로그램 적용 후 학부모와 교사가 본 아동의 변화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강경옥. (2006). 「인성교육 적응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경상북도교육연구원. (2013). 「연구학교 운영평가계획」.
- 3남청룡 외 18인. (2012).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청도창의체험자원지도(CRM)」. 경상북도청교육지원청.
- 4교육부. (2013). 「초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www.ncic.re.kr).
- 5의사소통 중심의 모래놀이치료 프로그램이 모-자간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네이버 원문 이동
- 6A Comparative Study on Citizenship Reform : Comparing Samaul Movement and Life-Dancing Movementearticle 원문 이동
- 7김옥순. (2011). 아동의 세계시민의식 형성에 미치는 국제교류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청소년문화포럼」, 26: 8-28.
- 8청소년 봉사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공동체 의식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봉사활동 시간과 주관적 만족을 중심으로네이버 원문 이동
- 9The Efficacy of Game Play Academic Motiv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Underachieve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earticle 원문 이동
- 10A Study on the Citizen Targeted Education Programs for Saemaul Spirit Enhancement - The Case of Global Saemaul School of Dong-gu(Daegu City) -earticle 원문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