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상호 문화적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의 ‘흥’ 이해 교육 연구 - 고전 문학 제재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f Education for Understanding Koreans’ Emotion of ‘Heung(興)’ in order to improve intercultural competence : With Focus on Classical Literatures

김혜진, 김종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2-1, 79-11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understand Koreans' emotions or ‘Heung(興)’, an element of Korean spiritual culture, to help understanding Korean cultures in depth, and to improve intercultural competence. Intercultural competence, as an important element which acts as a base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ultural competence, is essential to acquire target language and culture. Meanwhile, ‘Heung’ is a positive emotion, such as joy, pleasure, refreshingness, and it is embedded in Koreans' spirits and their everyday lives with background of Korean society, history, and culture. This paper reports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eung’, an element of Korean spiritual culture, in order to improve intercultural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Next, target texts are selected from classical literatures including , the Korean classical pansori, and Sijo, Kasa, Jabga, and classic folk songs. Then educational contents of ‘Heung’ were divided into four: ‘Heung’ through communion with target person, ‘Heung’ as a spontaneous personality, ‘Heung’ as a optimistic personality, and ‘Heung’ as collective openness. The following are also suggested as a teaching methods of understanding ‘Heung’ to improve intercultural competence: confirming students' basic knowledge about ‘Heung’, understanding the concepts through the usage of ‘Heung’, experiencing ‘Heung’ through realization and sympathy, and realizing ‘Heung’ through cross cultural discussion.(Seoul National University)

한국어

이 연구의 궁극적 목표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인의 정서 혹은 정신 문화의 한 요소인 흥을 이해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함은 물론 이를 바탕으로 상호 문화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 다. 상호 문화적 능력은 의사소통 능력과 문화 능력의 기저로 작용하 는 중요한 요소로써 외국어 학습 혹은 외국 문화와의 교류 시, 목표 언 어와 문화의 습득을 위해 필수적으로 획득해야 하는 능력이다. 한편 ‘흥’은 즐거움, 기쁨, 상쾌함과 같은 긍정적이고 즐거운 기분을 향유하는 데서 오는 양(陽)의 정서로 한국인의 사회・역사・문화적 배 경 아래 형성되어 한국인의 정신세계나 일상생활 속에 많이 내재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상호 문화적 능력 향상을 위해서 한국 정신문화의 한 요소인 ‘흥’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대상 텍스트로 한국의 고전 판소리인 <흥부가> 및 시조, 가사, 잡가, 민요 등의 고전 문학 제재를 선정하여 대상과의 교감을 통한 흥, 즉흥적 성 격으로서의 흥, 낙관적 성격으로서의 흥, 집단적 개방성으로서의 흥 등 ‘흥’의 교육 내용을 크게 네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상호 문화적 능력 향상을 위한 ‘흥’ 이해 교육 방법으로는 흥에 대한 학습자의 기초 지식 확인, 흥의 용례를 통한 개념 이해, 실현과 공감을 통한 흥의 체험, 타문화간 토론을 통한 흥의 인식을 제시하였다.(서울 대학교)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대상 및 방법
 2. ‘흥’에 대한 전반적 고찰
  2.1. 흥의 의미 및 종류
  2.2. 미적(美的) 감정으로서의 ‘흥’의 특징
  2.3. ‘흥’과 고전 문학의 관계
 3. 한국어 교육에서 ‘흥’ 이해 교육의 필요성
  3.1.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흥’ 관련 교육 현황
  3.2. ‘흥’의 일상 용례
 4. 고전 문학을 통한 한국의 ‘흥’ 이해 교육 내용
  4.1. 대상과의 교감을 통한 흥
  4.2. 즉흥적 성격으로서의 흥
  4.3. 낙관적 성격으로서의 흥
  4.4. 집단적 개방성으로서의 흥
 5. 상호 문화적 능력 향상을 위한 ‘흥’ 이해 교수·학습방안
  5.1. 흥에 대한 학습자의 기초 지식 확인
  5.2. 흥의 용례를 통한 개념 이해
  5.3. 실현과 공감을 통한 흥의 체험
  5.4. 타 문화 간 토론을 통한 흥의 인식
 6.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김혜진 Kim Hyejin.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연구원
  • 김종철 Kim Jongcheol.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