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People’s Uprising Special Issue of [Literature] issued on February 25, 1947is a very special temporary issue in which only 8 literary works, which all dealtwith the October Uprising, are contained. This thesis attempted to analyze theintention of planning this issue by finding the common clauses of the novelsalong with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considering that these literaryworks were the products which were converged in Korean Writers Alliance’organ and which were composed in the particular time period. By analyzing theliterary works contained in this special issue, the causes and process of theOctober Uprising on which Korean Writers Allia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Writers Alliance) focused and the historicizing direction, which they pursued,of the October Uprising can be examined. The novels in this special issue build the narration of the event so that theOctober Uprising can be “uprising.” For violence fighting to become “uprising,”elaborate efforts had to be made to justify the violent situation by providingcauses for the inevitable outbreak of the event leading to the chain of violenceand self-defense. In embodying the main agent so as to become “people”uprising, the writers emphasize subjectivity by making “people” such as farmersand laborers and induce them to band together with “peoples” in the processof struggle. And through this alliance, the writers made these people obtainenlightenment and realize the meaning of “uprising” by themselves. Then, one wonders why the Writers Alliance wanted to record it as the“uprising “of “people” instead of emphasizing the leadership and influentialpower of the left wing, and this should be explained in the aspect of the year1947. The Writers Alliance, while experiencing October Uprising, highlycriticized the cultural movement which could not sympathize with people andwhich fell far behind in consciousness. Afterwards, to change the situation, they reinforced the belligerence of the literary movement and strived toconcentrate on culture popularization movement and the active creation ofliterary works on the October Uprising can be interpreted as one of thesemethodologies. To make people, who changed to become belligerent throughOctober Uprising,, sympathize with the inevitability and justification of thereform, it was necessary to embody this event as “people” uprising. However,more fundamental causes should be sought from the shock and qualification ofthe literary persons themselves who witnessed that the October Uprising wasthe “uprising” of “people” and from their self-reflection that the literary personswere behind the general public. So the new beginning of making narrative ofthe October Uprising was the time when the Writers Alliance attempted tomaterialize the democratic national literature that they pursued as true“people’s literature.”
한국어
1947년 2월 25일 발행된 <문학> “인민항쟁특집”호는 모두 10월항쟁을 다룬 8편의 글만 수록된 매우 독특한 임시호이다. 본고는 이 작품들이 조선문학가동맹의 기관지 안에 수렴된, 특정한시기에 구성된 산물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소설의 개별적 특성과 함께 공통항을 찾아 기획의도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 특집호의 작품들을 분석함으로써 조선문학가동맹이 주목했던 10월항쟁의 원인과 과정, 더 나아가 그들이 추구했던 10월항쟁의 역사화 방향을 살펴볼 수 있다. 특집호 소설들은 우선 10월항쟁이 ‘항쟁’이 되도록 서사를 구축하고 있다. 이때 폭력투쟁이‘항쟁’이 되기 위해서는 사건이 발발할 수밖에 없도록 원인을 제공하고, 선-폭력에 대한 후-정당방위로써 폭력상황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작업에 공을 들여야 했다. 또한 ‘인민’ 항쟁이 되도록 주체를 형상화하는데, 특히 작가들은 농민과 노동자 등 ‘인민’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주체성을 강조하고, 이들이 투쟁의 과정에서 ‘인민들’로 연대하도록 이끌고 있다. 그리고 이 연대를 통해 깨달음을 얻게 함으로써 ‘항쟁’의 의미를 스스로 체현하도록 했다. 그렇다면 조선문학가동맹은 어째서 좌익 진영의 지도력이나 영향력을 강조하기보다 ‘인민’의 ‘항쟁’으로 기록하고자 했는지 궁금해지는데, 이 문제는 1947년의 국면 속에서 설명되어야한다. 조선문학가동맹은 10월항쟁 이후 국면 타개를 위해 문학운동의 투쟁성을 강화해나가며문화대중화운동에 매진하는데, 10월항쟁의 적극적인 작품 창작은 이러한 방법론의 하나로 해석될 수 있다. 이때 10월항쟁을 통해 투쟁적으로 변화된 대중에게 변혁의 필연성과 정당성을공감하게 하는 데에는 이 사건이 ‘인민’ ‘항쟁’으로 형상화 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문학자가 인민대중에 뒤쳐져 있다는 자기반성, 즉 문학자들 스스로 10월항쟁이 ‘인민’의 ‘항쟁’이었음을 목도한 충격과 자극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그래서 조선문학가동맹이 지향한 민주주의민족문학을 참으로 ‘인민의 문학’으로 실현시키고자 했을 때 10월항쟁의서사화는 그것의 새로운 시작이 될 수 있었다.
목차
1. ‘10월항쟁’의 호명을 둘러싼, 계속되는 인정투쟁
2. 『문학』지 ‘인민항쟁특집’호의 기획과 역할
1) ‘항쟁’의 서사화, 역사화
2) ‘인민’의 주체성과 마음의 연대
3. 10월항쟁의 문학적 표상과 문학가동맹의 대중투쟁성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