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t first, shows some cases where ‘戮史(Yook-Sa)’, one of his pennames, were used. And it gives a new meaning to his pen names by connecting戮史(Yook-Sa)’s subversive connotation and 陸史(육사)’s revolutionary pursuit. Lee Yook-Sa's ideological location was also measured through the study of thesubject of the
한국어
이 글에서는 우선 이육사의 호 중에서 ‘戮史(육사)’가 사용된 경우를 확인하고 ‘戮史(육사)’의 전복적 어의와 ‘陸史(육사)’의 혁명적 지향을 연동시켜 이육사의 새로운 면모와 활동 영역을 살펴보았다. ‘戮史(육사)’라는 필명으로 글을 발표한 대중의 매체 주체와 성격, 발표 시점 등을 통해 이육사의 사상적 좌표를 측정하였다. 육사가 대중에 발표한 글을 통해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의 국내 네트워크, 카프 맹원 이갑기(李甲基)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한편 이육사가 「신문조서」에서 진술한 바, 중국에 가서야 윤세주(尹世冑)의 권유를 받고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에 입교하였다고 피동적으로 진술한 것에 대해, 사실은 육사가 국내에서중국행을 도모할 때부터 이미 윤세주-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와의 접선을 염두에 두고 있었을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이육사가 일제 말 중국행을 감행하여 체포되고 옥사하게 되는 사태의 내적 동인과 정황을그의 시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특히 그의 정체성인 '육사'의 실현과 <꽃>의 관계를, 시 <꽃>은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의 이념과 슬로건, 교가(校歌) 및 군가(軍歌) 등의 총화이자 시적 버전이라는 차원에서 설명해 보았다. 이육사 시세계 해석의 이념성과 추상성을 지양하고물질적·역사적 실체를 바탕으로 해석해 보고자 한 것이다.
목차
1. 머리말 : ‘육사’라는 기호와 표상
2. ‘육사(戮史)’와 ‘육사(陸史)’ :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의 사상과 네트워크
3. <꽃> : 신체화된 감각과 기억의 표상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