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예회관의 지역간 효율성 격차 연구 - 비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gional Efficiency Gap of Art Centers in Korea : Focusing on Non-capital Region

이재희

초록

영어

An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approach, carried out for evaluating the efficiency gap of art centers between regions. Contrary to a common belief, there is no efficiency differential of art centers between capital region and non-capital region. But the efficiency of art centers in small cities and counties of non-capital region i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metropolitan cities of the region and in capital region. The lower efficiency in small cities and counties bears relations to the efficiency lag of newly-built young art centers in those areas, the absence of other art centers as near competitors, and the smaller size of local residents. To improve their efficiency, art centers in small cities and counties need to try to benchmark successful cases of other art centers operating under the similar conditions and to create a regional cooperative system between nearby art centers.

한국어

이 논문은 비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문예회관의 운영 효율성을 DEA 방법으로 실증분석하고 정책대안과 관련 된 시사점을 제시한다. 일반적 통념과 달리,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에는 문예회관의 효율성 격차가 존재하지 않 는다. 그 대신 수도권과 비수도권 시군(도)지역 간, 비수도권 내부의 광역시와 시군(도)지역 간에는 효율성 격 차가 나타난다. 비수도권 시군(도)지역의 낮은 효율성은, 운영년수가 짧은 신생 문예회관의 효율성이 낮고, 지 역내 경쟁공연장이 존재하지 않으며, 지역주민수가 적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그동안 운영주체 변경, 규모 확대 등이 효율성 개선을 위한 대안으로 제기되었으나 비수도권 시군(도)지역에서 이들의 효과는 제한적이다. 그보다는 현재의 투입 요소를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중요하며, 여기에는 일부 효율적 인 시군(도)지역 문예회관을 벤치마킹하고 인접 문예회관 간에 권역별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이 포함될 수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문예회관의 효율성에 관한 이론적 검토
  1. 효율성 분석방법
  2. 문예회관의 투입과 산출
 Ⅲ. 문예회관 효율성 격차의 실증분석
  1. 문예회관의 일반 현황
  2. 문예회관의 지역간 효율성 격차
  3. 비수도권 문예회관의 지역간 효율성 격차와 요인
 Ⅳ. 문예회관의 효율성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재희 Lee, Jae-Hyee. 경성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문화체육관광부. (2003~2013).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 문화체육관광부.
  • 2문화체육관광부. (2012). 「지역 공공문화기반시설 운영실태 분석 및 평가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 3문화체육관광부·예술경영지원센터. (2008~2010). 「문예회관 운영현황 조사」. 문화체육관광부.
  • 4문화체육관광부·예술경영지원센터. (2013). 「2013 공연예술실태조사 (2012년 기준)」. 문화체육관광부.
  • 5박영정. (2005). ‘문예회관, 지역문화 창조하는 거점공간으로 기능해야,’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문화예술」, 316: 26-32.
  • 6A Study on Vitalization Strategies for Culture & Arts Centers of Local Governments: the case of Somri Culture & Arts Center in Iksanearticle 원문 이동
  • 7A Analysis of Culture and Art Center's Operational Performance by Central Operating Bodyearticle 원문 이동
  • 8Analysis of the Efficiency of the Local Culture and Art Center in Regional Government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earticle 원문 이동
  • 9이병일. (2011). ‘지방자치단체 공연문화시설 운영성과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10조직운영주체별 상대적 효율성 분석 : 문화예술회관을 중심으로네이버 원문 이동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