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직무요구와 직무탈진간 관계에서의 직무자원의 조절 역할 -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Moderating Role of Job Resource in Job Demand-Job Burnout among Local Public Officials

안성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y studying how job demand effect job burnout through empirical analysis on local public officials and investigating the role of job resource as moder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job resource, this study drew implications for effective job design. Analysis result pointed out that insufficiency of role, role overload, role conflict affected job burnout, however, role ambiguity showed no influence on job burnout. Glancing at the analysis result of the moderation effect of job resource in the relation between job demand and job burnout, the moderation effect of job control was only effective in the relationship of role ambiguity and job burnou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burn out and each elements, role overload, role conflict and role insufficiency, however, appeared not to have buffering effect. Performance feedback which was in relation with role deficiency and role ambiguity only represented moderation effect.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지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을 통해 직무요구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직무요구와 직무탈진간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의 직무자원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효과적인 직무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역할부족, 역할과부하 및 역할갈등은 직무탈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역할모호성은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직무요구와 직무탈진 간 관계에서의 직무자원의 조절효과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직무통제의 조절효과는 역할모호성과 직무탈진간의 관계에서만 나타났다. 나머지 역할과부하, 역할부족 및 역할갈등과 직무탈진 간에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피드백의 경우 역할부족 및 역할모호성과 직무탈진간의 관계에서만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목차

요약
 Ⅰ. 서 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1. 직무요구와 직무탈진 간의 관계
  2. 직무자원의 조절역할
  3. 연구 모형
 Ⅲ. 연구방법
  1. 자료의 수집 및 표본의 특성
  2. 변수의 측정
  3.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Ⅳ. 분석 결과
  1. 연구변수들의 상관관게 분석
  2. 가설 검정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성수 Ahn, Sung-soo. 창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