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생의 운동참여의도 부모지지, 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행동 간의 인과관계

원문정보

Causal Relation Among Intention, Self-efficacy, Parental Support and Exercise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김인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 among intention, self-efficacy, parental support and exercise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causal relation model is constructed as exogenious variable is intention, endogenious variables are self-efficacy, parental support and exercise behavior. The subjects are 960(boys: 504, girls: 456)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intention about exercise, self-efficacy, parental support and exercise behavior scales a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causal model of this study is examined theoretical model(χ2=276.13, df=109, Q=2.53, TLI=.967, CFI=.976, RMSEA=.057). In analysis each path, intention → self-efficacy(.492), → parental support(.162), → exercise behavior(.623), self-efficacy → exercise behavior(.309), parental support → self-efficacy(.296), → exercise behavior(.219) are significant. The second analysis of mediator effect, self-efficacy and parental support have significant indirect effect in this model. In analysis of indirect effect of parental support, students are lower received control support and have higher intention show higher exercise behavior. To keep exercise behavior of children, children have to high participation intention and high self-efficacy, and parents have to provide autonomic support about their participation.

한국어

이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운동참여의도와 부모지지, 자기효능감이 운동지속행동과 어떤 인과관계에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계획된 행동이론에 근거하여 참여의도를 외생변인으로 자기효능감, 부모지지, 운동지속행동을 내 생변인으로 구성하고, 검증을 통해 변인 간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학 교 4~6학년 학생 960명(남: 504명, 여: 456명)을 대상으로 참여의도, 자기효능감, 부모지지, 운동행동 척도를 사용 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이 연구에서 설정된 매개효과모델은 이론모델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χ2=276.13, df=109, Q=2.53, TLI=.967, CFI=.976, RMSEA=.057) 각 경로에 대한 유의성 분석에서 참여의도 → 자기효능감 (.492), → 부모지지(.162), → 운동지속행동(.623), 자기효능감 → 운동지속행동(.309), 부모지지 → 자기효능감(.296), → 운동지속행동(.219)의 경로가 모두 유의한(p<.01)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 과 부모지지의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운동의도의 수준과 관계없이 자기효능감이 낮은 상태에서 자율적지지는 작게 영향을 미치지만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으면 자율적지지가 지속 행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의 운동지속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도 수준을 높게, 부모지지 중 자율적 지지를 많이 제공하고, 자기효능감을 높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처리
 Ⅲ. 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 인과분석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김인수 Kim In Soo. 광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