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진각 혜심의 선사상 체계와 불교사적 의의

원문정보

Jingak-Hyeasim’s Zen Thought System and Its Meaning in Buddhism History

김방룡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Jingak- Hyeasim’s Zen Thought and its status of thought history in the viewpoint of Korean Zen Buddhism history. I studied this theme with three critical mind as follows. Firstly, “What was the condition of reality and the problems facing Koryeo Zen Buddhism in Hyeasim’s days?” Secondly, “What kind of effort did Hyeasim, a chief monk of the second generation at Suseonsa temple, to solve the problems?” Thirdly, “What did his Zen thought have an effect on Korean Buddhism since then and what is the meaning of his thought in Zen Buddhism history?” Above all, I disclosed the change of Korean Zen Buddhism arising from the appearance of Fayan school in early Koryeo Dynasty and the foundation of Cheontae school in the middle of Koryeo Dynasty after the opening of Zen schools in nine mountains in late Shilla early Koryeo. Then I discussed the reality of Koryeo Zen Buddhism, different from Chinese Zen Buddhism. And I clarified Hyeasim’s duty that he had to succeed and revive Jinul’s Zen tradition as a chief monk of the second generation at Suseonsa temple in the condition of reality of Koryeo Buddhism. I also analysed some texts, 『Gujamubulseonghwa-Ganbyeongnon』, 『Seonmun-Yeomsong』, 『Jingakguksa- Eorok』 etc. which are related to Hyeasim’s Zen thought. Finally, I defined the 『Ganbyeongn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Ganhwaseon, 『Yeomsong』 to Gonganseon, and 『Eorok』 to Josaseon. Through these discussion, I claimed that there were coexisted Josaseon, Gonganseon and Ganhwaseon and Zen sect, Kyo sect, Pure land sect and mystic Buddhism together, and the harmony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philosophy and literature in Hyeasim’s Zen thought. I thought that Hyeasim and Jinul performed their periodic mission, having common critical mind in Korean Zen Buddhism history and Hyeasim had some political compromise and halfway thought in those periodical condition.

한국어

본 논문은 한국 선종사의 관점에서 혜심의 선사상의 특징과 그 사상사적 위 상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혜심 당시 고려 선 종이 처한 현실은 어떠하였으며, 사상사적 과제는 무엇이었는가?” 둘째, “혜심 은 수선사 2세 사주로서 당시 한국선이 당면한 사상사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 여 어떠한 노력을 기울였는가?” 셋째, “혜심에 의하여 구축된 선사상의 체계는 이후 한국불교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선상상이 갖는 선종사적 의의 는 무엇인가?” 등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우선 한국의 선종은 나말여초 구산선문의 개창이후, 고려 초 법안종의 등장 과 고려중기 천태종의 개창으로 인하여 선종의 지형이 크게 변화되었다는 점을 밝혀 중국선종과 다른 고려선종의 현실을 논하였다. 이어 혜심은 수선사 2세 사주로서 고려 불교계의 현실 속에서 지눌의 수선사 선풍을 계승하여 고려 선 종을 중흥시켜야 하는 임무를 부여받고 있었다는 점을 밝혔다. 그리고 그의 선 사상과 관련된 『구자무불성화간병론』, 『선문염송』, 『진각국사어록』 등의 성격을 분석하여 『간병론』은 간화선, 『염송』은 공안선, 『어록』은 조사선의 성격을 주로 하고 있다는 점도 규명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혜심의 선사상 속에는 조사선과 공안선과 간화선이 공 존하고, 선과 교와 정토 및 밀교적 요소가 공존하며, 유교와 불교가 조화를 이 루고, 철학과 문학이 공존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한국 선종사에 있어 서 혜심은 지눌과 공통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유대하면서도 각기 시대적 사명을 다하였고, 시대적 상황 속에서 정치적인 타협과 사상의 불철저함도 지니고 있 다고 평가하였다.

목차

국문 초록
 Ⅰ. 시작하며
 Ⅱ. 고려 선종의 현실과 혜심의 당면과제
 Ⅲ. 혜심의 저술을 통해 본 당면과제의 해결
  1. 『구자무불성화간병론』을 통한 간화선 수행법 제시
  2. 『선문염송』의 편집 발간을 통한 고려판 공안집 완성
  3. 『조계진각국사어록』을 통한 조사어록의 정형 제시
 Ⅳ. 결론 : 혜심의 선사상의 영향과 의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방룡 Kim, Bang-Ryong. 충남대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