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적 기본권으로서의 장애여성 안전권에 대한 탐색적 고찰 - ‘범죄로부터 안전’의 실태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study on the disabled women’s safety right as a social right: focusing on safety from crime

곽지영, 강미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material hardship as a risk factor and social support as a protective factor on the disabled women’s safety from crime and suggest the social and political alternatives to ensure the disabled women’s safety. Main findings that resulted from a survey of 374 disabled women in nationwide showed that the material hardship as a risk factor affected the disabled women’s safety. The disabled women who is less-educated, living in local city, and more experiencing material hardship were not safe from crime. The social support as a protective factor affected the disabled women’s safety also. The disabled women who is less-educated, having mild disability, living in local city, and less having social support were not safe from crime.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ed soci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to ensure the disabled women’s safety.

한국어

본 연구는 장애여성들이 인식하는 ‘범죄로부터 안전’ 실태 분석을 통해, 위험요인으로서의 물질적 곤궁과 보호요인으로서의 사회적 지지가 ‘범죄로부터 안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여성의 실제적인 안전을 담보하기 위한 사회정책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장애여성 총 374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위험요인으로서 물질적 곤궁은 '범죄로부터 안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장애여성의 교육 기간이 짧고, 중소도시와 농산어촌에 살고 있으며, 물질적 곤궁을 많이 경험할수록 범죄로부터 안전하 지 않았다. 보호요인으로서 사회적 지지 또한 '범죄로부터 안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장애여성 의 교육기간이 짧고, 정애정도가 경증이며, 중소도시와 농산어촌에 살수록, 사회적 지지가 적을수록 범 죄로부터 안전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적이고 실천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곽지영 Jee-Young Kwak. 숭실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강미경 Mi-Kyung Kang. 사회복지연구소 마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