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Children’s Toy Attachment on Brand Support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y Mediation of Construction-Efficacy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study to verify, which set as preschooler’s toy attachment affects children’s brand supporting behavior, and set as attachment formed a social-efficacy and this affects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their life. A child stops crying immediately when given a toy. In a marketing context, the above phenomenon is consistent with the list of measurement of brand attachment. (Feeling better with and depressed without: Thomson et al, 2006) The behavior of begging children who use nagging as means of getting a new toy in a toy shop resembles brand supporting behavior (Park et al, 2010, 2007, Zeithaml et al, 1996). In this study, we reflect children’s attachment to toys onto consumer’s affection for brands. The research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ren and its application as well as its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induced by toy attachment and brand supporting behavior was implemented by considering existing literature and using the direct observation method, we performed experiments on self-efficacy(academic, leisure, social efficacy), toy attachment, brand support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 controlled situation, in which infants freely play with toys in the toy store. (N = 4, boy1, girl3, mean age3.5) (Study 1) The new result derived from the direct observation experiment was verified through a hypothe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lf-efficacy → brand supporting behavior → psychological well-being. And we verified using SEM through a questionnaire followed by parents’ observation. (N = 182, boy = 91, girl = 91, mean age = 4.6) (Study 2) The potential of extending the applicative range of the research was verified by directly applying the study model to the preexisting study, in which the targets are adults and the subject of attachment is smart phone (Chung K. Kim, 2013). (Studies 2)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 that children's toy attachment influences brand supporting behavior as well as self-efficacy and that self-efficacy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Especially Socialefficacy affects other efficacy (Academic, Leisure) and influences brand supporting behavior.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에게 장난감 애착이 형성되어 사회적효능감을 통해서 브랜드지지행동과 이들의 삶의 질에 긍정 적,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이다. 우는 아이에게 장난감을 주면 바로 멈춘다. 위의 현상은 마케팅 측면에서 본다면 Thomson(2006)이 제시한 브랜드 애착(Brand attachment)의 측정항목과 일치 한다. (없으면 우울해지고 있으면 기분이 좋아진다.) 부모와 아이의 관계에서 시작된 존 볼비의 애착이론(1966)을 C. Park (2006) 과 Thomson(2005)은 브랜드와 자아 와의 감정적 인지적 관계 (연결, 본딩, 일체감)의 형태인 브랜드 애착으로 확장하여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브랜드 애착을 아동의 장난감에 대한 애착으로 바꾸었고 브랜드 지지 행동의 형태와 장난감애착으로 인한 자아효능감과 의 관계와 아동들의 심리적웰빙과 그 적용을 위해 기존 문헌을 고찰하였다. 장난감 매장에서 미취학아동(3~5세)들이 장난감을 가지고 자유롭게 노는 상황에서 장난감애착과 자아효능감, 브랜드 지지행동, 심리적웰빙(psychological well-being)을 직접 관찰법으로 실험하였고 행동경로분석을 통해 그 결과를 도 출하였고 특히 자아효능감을 세부적(학습적, 레저적, 사회적 효능감) 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N=4, boy 1, girl 3, mean age 3.5) (연구1) 직접 관찰 실험에서 도출된 결과(사회적효능감 → 브랜드지지행동, 사회적효능감 → 심리적웰빙, 브랜드지지행동 → psychological well-being)를 가설을 부모의 관찰법으로 설문을 통한 결과를 구조방정식 모델링으로 검증하였다. (N= 182, boy=91, girl =91, mean age = 4.6) (연구2) 또한 본 연구에 사용한 연구모형은 기존의 성인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으로 연구(김정구 2013)한 그 연구모형에 그대로 적용하여 모형의 확장 가능성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아동의 장난감 애착이 브랜드지지행동, 자아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입증 되었고 학습적, 레저적효 능감이 psychological well-being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그리고 사회적효능감이 브랜드 지지행동에, 브 랜드 지지행동은 아동의 psychological well-being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도 입증되었다. 특히 사회적효능감은 학문적, 레저적효능감에도 영향을 미치며 브랜드 지지행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다.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2.1 애착(Attachment)
2.2 브랜드 지지행동
2.3 자아효능감(self-efficacy)
2.4 삶의 질
2.5 일상생활의 방해 (escapism)
III. 연구의 방법과 진행
3.1 연구 1 (장난감 매장에서 아동에 대한 직접 관찰법의 의한 실험)
3.2 직접관찰실험 결과
3.3 연구 2 (아동의 부모의 관찰법에 의한 설문조사)
3.4 가설검증
IV.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
4.1 연구의 중요성
4.2 학문적 공헌점
4.3 실무적 공헌점
4.4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키워드
- 아동
- 장난감애착
- 자아효능감
- 학문적효능감
- 레저적효능감
- 사회적효능감
- 브랜드지지행동
- 심리적 웰빙
- 현실도피
- 일상생활방해
- 미취학아동
- 직접관찰실험
- 부모관찰법
- 장난감 매장
- children
- toy attachment
- block construction
- self-efficacy
- academic efficacy
- leisure-efficacy
- social efficacy
- brand supporting behavior
- psychological well-being
- escapism
- daily life interferes
- preschooler
- direct experimental observation
- parent observation method
- toy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