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Student Perceptions of Online Content Quality
초록
영어
Given the lack of a common understanding across and within disciplines, it is not surprising that conceptual ambiguity about quality persists. This study is to propose and test the measurement model of online content quality. Specifically,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30-item instrument for assessing student perceptions of online content quality. Through qualitative and empirical research, the author find that the online content quality construct conforms to the structure of a three factor model that ties online content quality perceptions to distinct and actionable dimensions: content operation, student relationship, content implementing technology. The author consider the research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its limitations.
한국어
학문 분야 내·외를 통틀어 품질에 대한 공통적인 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 그것의 개념적 모호성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 은 놀라운 사실이 아니다. 이 연구는 온라인 콘텐츠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하고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 로 온라인 콘텐츠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30개의 항목을 개발하여 제시한다. 질적·양적 연구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온 라인 콘텐츠 품질이 현격한 세 가지 독립적인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세 가지 차원은 콘텐츠 운영, 학 습자 관계, 콘텐츠 구현 기술이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의 학술적·관리적 시사점과 더불어 연구의 한계점을 지적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콘텐츠 품질 차원에 관한 연구:교육학 분야의 연구
2.2 서비스 품질 차원에 관한 연구
2.3 웹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2.4 온라인 강의 콘텐츠 품질에 대한 개념적 정의
Ⅲ. 연구방법
3.1 자료의 수집
3.2 분석방법
3.3 응답자 특성
Ⅳ. 연구결과
4.1 심층면접 분석결과
4.2 설문조사 결과
Ⅴ. 논의
5.1 연구결과의 요약
5.2 연구결과의 시사점
5.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