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육당 최남선의 조선어역 와카 연구 - 와카 번역사적 위치 -

원문정보

A Study of Choi Nam-seon’s Translation of Waka - Focusing on its position in the history of Waka translation -

박상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s waka and their Korean translations by Choi Nam-seon, Lee Gwang-soo, Suh Doo-soo, and Kim Eok in a syntactic manner. First, it reviews, in the case of Choi Nam-seon, Kino Tomonori’s waka compiled in “Tikinann”. In addition, “Value of the Poetical Works of Majesty Meiji Tenno”, “Lee Bang-ja’s Nine Royal Verses”(translated by Lee Gwang-soo), “Sakimorinouta”(by translated by Suh Doo-soo), “Abridged Translation of the Mannyousyu”, “One Hundred Patriotic Poems in Korean Translation”, “Zyunanyuizyu” and “Yuukokuisyu”(translated by Kim Eok) are examined. It then asks, where Choi Nam-seon’s translations stand in the history of waka translation? The aforementioned reviews found the following: first, it is not if this was because of limited information, but Choi Nam-seon’s translation was the first attempt to translate waka into Kore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Second, he was the first person who translated waka into a sijo(Korean poem) form. Third, he was the first to use the word “nim“(Mr./Mrs.) for “Kimi.” Fourth, he localizes waka by translating them in an indigenous language-centric manner. The history of studies on Choi Nam-seon’s waka translation is short, which means that there are still many topics to study.


한국어

식민지 조선에서 최남선, 이광수, 서두수, 김억이 조선어로 옮긴 와카 및 와카 번역 텍스트를 통사적으로 살펴보았다. 최남선의 경우는 <지기난(知己難)>에 번역․수록되어 있는 기노 토모노리(紀友則)의 와카(和歌)를 검토했다. 한편 이광수의 <명치천황어제근역(明治天皇御製謹譯)>과 <이방자전하어가9수(李方子殿下御歌9首)>, 서두수의 <防人歌(사모리노우다):치졸한 이식>을 살펴봤고, 김억의 <만엽집초역(萬葉集鈔譯)>과 <선역애국백인일수(鮮譯愛國百人一首)> 그리고 <순난유주(殉難遺珠)> 및 <우국유주(憂國遺珠)>도 고찰했다. 결국 와카 번역사적 측면에서 최남선의 와카 번역은 다음과 같은 어떤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첫째, 과문한 탓인지 모르겠지만 최남선의 와카 번역은 식민지 시기 최초로 시도된 와카의 조선어역이었다. 둘째, 그는 와카를 최초로 시조 형식으로 옮겼다. 셋째, 와카의 가어인 ‘君(きみ, KIMI)’를 ‘님’으로 최초로 번역했다. 넷째, 와카를 도착언어중심주의로 번역했고, 자국화로 옮겼다. 최남선의 와카 번역에 관한 연구는 시작된 지 얼마 안됐다. 앞으로 연구할 테마가 적지 않다는 말이다. 예컨대 최남선의 와카 번역 전략은 도착언어중심주의였고, 자국화였다. 김억도 와카를 도착언어중심주의로, 자국화로 옮겼다. 와카 번역 양상에서 최남선과 김억은 동일했다. 그렇다면 이들은 어떤 영향 관계와 상관 관계에 있는 것일까? 한편 해방 후 김사엽도 역시 시조 형식으로 󰡔만엽집󰡕을 우리말로 옮겼다. 이들은 또한 어떤 영향 관계와 상관 관계에 있는 것일까? 추후 새로운 글에서 구체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와카 번역 양상
  1. 최남선의 와카 번역
  2. 이광수, 서두수, 김억의 와카 번역
 Ⅲ. ‘君’의 번역어
  1. 최남선의 번역어
  2. 이광수, 서두수, 김억의 번역어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상현 Park, Sang-hyun. 경희사이버대학교 일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