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teaching method based upon research and postscript learning of Japanese classic entitled Taketori Monogatari. Using this method, students become more engaged in their learning, and gain deeper understanding. Moreover, they participate actively with enthusiasm and confidence. This approach does involve some effort on the instructor’s part, however, who must set the research direction for student sand also prompt them to ask key questions concerning a literary work. Such questions may involve the novel’s historical context and theme, as well as contemporary values. Initially, students in this study were passive because they were unable to think critically. As time progressed, however, they became more acquainted with the lesson, and discussions began to take place. Students became particularly enthusiastic after it was announced that bonus points would be allotted for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discussions. Additionally, supplementary online resources were provided to assist students in understanding the text, which also led to livelier classroom discussions. A teacher’s ability to address a literary work’s numerous features is limited; nevertheless, by discussing and examining a text’s essential elements, students can cultivate the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and develop conceptual knowledge, which is key to reading effectively. Furthermore, such practices strengthen students’ ability to think critically and logically I deleted “communication skills” from this sentence since the same idea is expressed in the sentence preceding this one (i.e., students can cultivate the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한국어
이번 논고에서는 일본고전 『다케토리 모노가타리』를 중심으로 조사 발문학습을 활용할 경우 어떤 수업이 가능한지 살펴보았다. 이 수업방식은 학생들의 몰입도와 이해도를 높이고 수강생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고 흥미와 자신감을 고취시켰다. 한편, 학생들이 힘들어 할 때는 교수자가 평소 쌓아 놓은 배경지식을 사용하여 발표를 담당한 학생에게 조사방향을 설정해 주고 작품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사항을 중심으로 질문이 만들어지게 유도해야 하는 수고로움이 필요했다. 이때 중요한 사항이란 작품의 시대적 배경, 당시의 가치관과 작품의 주제, 사고방식과 표현력을 말한다. 처음에는 어떤 식으로 사고해야 할지 몰라 수동적으로 임하던 학생들이 차츰 익숙해지면서 여러 가지 의견을 제시하며 적극적인 반응을 보였다. 활발한 토론을 이끌어내기 위해 발표 마일리지 점수를 반영한다는 조건도 강의 시작단계에서 제시했기 때문에 차츰 수업분위기는 토론으로 활기를 띠어 갔다. 시대적 배경이나 작품의 내용의 이해를 돕는 참고서적을 잘 제시하고 참고 프린트물을 인터넷 디스크에 올려놓으면 다음 수업의 참여도는 더욱 활발했다. 교수자의 입장에서는 작품마다의 특징이 있으므로 매번 학생들에게 작품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질문을 만들어보게 하고 이를 지도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다. 하지만 작품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핵심이 되는 사항을 중심으로 질문과 토론을 하게 함으로써 작품을 제대로 읽기 위해 갖춰야 할 상식, 개념적 지식, 표현력은 함양되고 나아가 학생들의 논리력 사고력 의사소통능력도 향상되었다고 여겨진다.
목차
Ⅰ. 첫머리에
Ⅱ. 본론
1. 왜 고전교육을 해야 하나?
2.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3. 수업의 도입방식
Ⅲ. 끝머리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