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일생의례 연구사

원문정보

A study on traditional life rituals from the time of modern civilization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송재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the history of life rituals from the era of modern civilization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Let us summarize what has been discussed previously. With respect to materials available on this subject, there are not many that are accessible to the academic world. Even those that are, are mostly articles regarding life rituals and ceremonies that are publish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a few theoretical books on rituals such as the four major ceremonial occasions: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However there are hardly any studies on witnessing or experiencing actual rituals and ceremonies from this time. Therefore, we need to make efforts to identify and examine a variety of available materials including theoretical books on historical rituals, records of conducting or witnessing actual rituals(in particular, diaries), articles publish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records and journals written by Japanese and others from western societies with regard to our rituals.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identify and introduce personal records and journals that contain first-hand experiences of conducting and witnessing the traditional rituals of the time. Leaving aside individual and systematic in-depth research into birth rites, customary practices, wedding ceremonies, funeral rites, ancestral rituals, and birthday feasts, demographic studies on life rituals leave much to be desired. In particular, little progress has been made on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research into regularly undertaken rituals and ceremonies. That is, there has been a lack of in-depth systematic research on birth rites, customary practices, wedding ceremonies, funeral rites, ancestral rituals, and birthday feasts, and nor has there been demographic analysis based on the region and people’s social rank (aristocrat, middle class, and peasant). Moreover, a holistic approach has not been taken to understanding the entire scope of rituals at different periods of time, including prior to the 1860s, the era of modern civilizatio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post-liberation period from 1945. There is urgency in coming up with solutions to this problem and to finding relevant materials that will serve as the basis for multifaceted research approaches characterized by systematic, synchronic, diachronic, and comprehensive studies, which are both individual and sector-based. Nothing is complete unless you put it in final shape. When it comes to research outcomes, there has been a lack of studies on lifetime rituals in the periods under discussion but some research accomplishments have been achieved, in particular to do with wedding ceremonies. However, there is still a long way to go in terms of taking a systematic and holistic research approach. To this end, multifaceted research approaches should be taken by aggregating a variety of materials, information, and research findings that will allow subsequent in-depth research to be undertaken as we piece the puzzle together.


한국어

필자는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일생의례 연구사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이를 종합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료의 경우, 현재 학계에 소개된 자료는 별로 많지 않다. 소개된 자료의 경우도 신문ㆍ잡지에 게재된 일생의례 관련 기사가 대부분이며, 의례(관ㆍ혼ㆍ상ㆍ제례) 관련 이론서는 약간 정도이다. 그러나 당시 실제로 행했던 일생의례를 보거나 경험한 것을 기록으로 남긴 자료는 드물다. 그러므로 다양한 자료〔당시의 의례 관련 이론서, 실제로 일생의례를 행하거나 본 것을 기록한 문헌(특히 일기 류), 신문ㆍ잡지에 게재된 일생의례 관련 기사, 일본인과 서양인이 쓴 우리의 일생의례 관련 기록 등〕를 발굴 소개해야 한다. 특히 실제로 행하거나 본 것을 기록한 자료의 발굴 및 소개가 시급하다. 연구 성과의 경우, 출산의례는 출산의례복, 출산장소, 산파이용, 삼신상 등에 대한 논의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관례는 복식 위주의 논의가 대부분이다. 혼례는 혼례복식, 혼수, 혼인유형, 혼례양상과 절차 등의 논의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상례는 상례의 실상과 장법의 변화 등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고 있다. 제례는 제수 및 기제사 절차와 제례의 변모 등에 대한 논의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의 일생의례는 대체적으로 볼 때 미흡하지만 어느 정도 성과(특히 혼례)를 이룬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역별ㆍ계층별 연구도 미진할 뿐만 아니라, 출산의례ㆍ관례ㆍ혼례ㆍ상례ㆍ제례ㆍ수연례에 대한 개별적이며 체계적인 심도 있는 연구도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일생의례 전반에 대한 체계적이며 종합적인 연구는 매우 미진하다. 다시 말해 출산의례ㆍ관례ㆍ혼례ㆍ상례ㆍ제례ㆍ수연례 등에 대한 심도 있는 개별적 연구와 체계적 연구, 지역이나 신분(양반계층, 중인계층, 평민계층)별 연구와 이를 아우른 연구,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일생의례 전체를 조망한 연구, 나아가 1860년 이전과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 1945년 해방 이후 등의 일생의례를 개별적ㆍ전체적으로 연계시킨 연구 등이 미흡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자료 발굴이 시급하다. 이를 토대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개별적ㆍ분야별ㆍ체계적ㆍ공시적ㆍ통시적ㆍ종합적 연구 등이 필요하다. 그런바 다양한 자료와 다양한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마치 퍼즐을 맞추듯이 할 때 그 실상이 제대로 밝혀질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일생의례 연구사
  1. 자료
  2. 연구 성과
 Ⅲ.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송재용 Song, Jae-yong. 단국대학교 교양교육대학 교양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