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빛을 사용한 설치작품에서의 그림자 활용

원문정보

Using Shadow in Light Art

이지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suggested by the story that painting starts by outlining a shadow cast on a wall, a shadow is a good means to represent an object. A simple black silhouette, however, cannot provide sufficient clues about what is inside of it. It has to be filled by the imaginations of the viewers, and real artwork is completed only after this process. Artists often employ distorted shadows to express certain anxieties and psychological conflicts. Sometimes, the light and shadow transforms the entire space of the exhibition into an artwork. Such characteristics of shadows are also used in shadowgraphy and in shadow puppetry, where the playfulness of a shadow is emphasized. A shadow that has ‘un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momentariness and/or transitoriness, is similar to the virtual image in the digital age. In media art works, shadows are used not for imitation of an object but for ironical expressions. Often, objects inconsistent with a shadow are exposed together with a shadow. This allows people to recognize the imperfections of their senses and the discordance caused by their prejudices. On the other hand, distorted shadows reveal the psychological aspect and reinterpret and transform the space. In media arts, the shadows of the audience become an interface for interactive artworks, and the viewer can play with them. A projector has two functions: to make the shadow of the viewer into the light source and to project a simplified silhouette of the viewer. Here, we can discover another important role of shadows as a source of an image, not just a dark and simplified image of an object. In media arts, the contradictory aspects of shadows – the abstract and the representational, the self and the other - are rather fully exploited by artists. They also raise the question about what is real,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virtuality in digital arts and the transitory nature of shadows.

한국어

회화의 시초가 벽에 만들어진 그림자를 따라 그린 실루엣이라고 전해지고 있듯이 그림자는 사물을 재현하는데 좋은 수단이지만 단순한 실루엣만으로는 그 안의 내용에 대한 충분한 단서를 주기 어렵 다. 그 부분이 관객의 상상력과 이야기로 채워질 때 비로소 진정한 작품으로 완성된다. 작가들은 왜 곡된 그림자로 불안감이나 심리적인 상태를 나타내기도 하고 전시공간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또한 앞에 밝힌 여러 특성들이 그림자놀이나 그림자극처럼 유희와 연결되어 작업이 만들어진다. 비물질적 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그림자는 일시적이며 순간적이라는 점에서 디지털 시대의 가상이미지와 유 사한 면을 지니고 있다. 미디어 작품에서는 그림자의 재현적인 특성을 실체를 모방하기보다는 오히 려 반어적인 어법으로 사용한다. 그림자와 실체를 함께 보여주어 지각과 시각의 불일치를 일으키는 인간의 불완전한 감각과 고정관념을 보여준다. 왜곡되고 가변적인 그림자는 심리적인 것을 표현하는 장치가 되기도 하며, 때로는 공간을 재해석하고 변화시킨다. 또한 그림자를 인터페이스로 사용하여 관객에게 재미와 참여의 기회를 제공한다. 미디어 작품에서는 프로젝션하여 직접 그림자를 만들 수 도 있고 촬영된 관객을 실루엣으로 단순화시켜 영상으로 투사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그림자 가 단순히 오브제의 어둡고 단순화된 이미지일 뿐 아니라 그 자체로 또 다른 이미지의 근원이 될 수 있는 독립된 오브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추상과 구상, 자아와 타자의 경 계선에서 이중적 속성을 드러내는 그림자의 모순적인 면을 미디어예술에서 오히려 활용하고 있으며, 디지털 미술과 그림자에서 나타나는 가상성의 공통점을 통해 과연 실체가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을 던지기도 한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방법 및 범위
 2. 그림자의 미학적 특성
  2.1 재현성
  2.2 왜곡성
  2.3 가변성
  2.4 유희성
 3. 빛을 이용한 설치작업에서의 그림자
  3.1 익명성으로 인한 반전
  3.2 심리적인 표현
  3.3 공간과 형태의 변형
  3.4 그림자와의 상호작용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지희 Lee, Jeehee. 한양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