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이 향 제시를 통한 실감향상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Olfactory Vividness of Video on Reality Improvement through Providing Scents

이국희, 정윤진, 이형철, 안충현, 기명석, 김신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resenting appropriate scents with a video scene to increase the reality of a video is a predictable hypothesi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present matching scents for all scenes; therefore, finding the most effective way to improve the reality of video scenes with olfactory information is necessary. One possible hypothesis is that even when the same olfactory information is presented, a stronger improvement of video reality is realized when the scene is olfactorily more vivid than when the scene is olfactorily not vivid. To verify this hypothesis empirically, in this study we use three conditions of the olfactory vividness of video scenes (an irrelevant condition vs. a non-vivid condition vs. a vivid condition). After establishing these conditions, we collected and edited different videos with regard to each condition and then carried out three experiments. Experiment 1 used a within-participants condition of olfactory vividness of the video and posed two questions after the participants intentionally experienced certain scents with videos. The first question focused on improvements in the video reality with the matching scent, the second asked about preferences for the scent with the video. Experiment 2 was similar to Experiment 1, except it used a between-participants design, as we intended Experiment 2 to prove that the results of Experiment 1 did not stem from a contrast effect according to the demand characteristics. Experiment 3 was carried out to confirm whether we could observe the same results when the participants the scent by accident. As a result, we consistently observed the same results in the three experiments, finding that the level of video reality with olfactory information and scent preferences increased with the video in the vivid condition as compared to the non-vivid condition. Moreover, video reality was found to decrease in the irrelevant condition. This study has broad implications with regard to the level of reality in video and for those who market videos such as commercials.


한국어

영상장면에 어울리는 후각정보를 제시함으로써 영상실감이 향상될 것이라는 가설은 예측 가능하다. 그러나 냄새가 연상되는 모든 장면에 어울리는 후각정보를 제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어떤 장면을 선택하여 후각정보를 제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실감향상방법인지는 연구가 필요하다. 한 가지 가능한 가설은 후각정보에 대한 묘사가 생생한 영상에 어울리는 냄새를 제공하는 것이 후각정보가 비생생한 영상에서 제공하는 것보다 더 강한 실감향상을 가져온다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한 본 연구는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을 세 가지 조건 (무관 vs. 비생생 vs. 생생)으로 구분하였고, 각 조건에 부합하는 영상을 수집한 후 세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1은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을 참가자 내로 조작하면서 해당 영상과 함께 향을 의도적으로 경험하게 한 후, 실감향상과 향제시선호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2는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을 참가자 간으로 조작하면서 실험 1의 결과가 요구특성에 의한 대비효과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실험 3은 우연적으로 향을 경험할 때도 실험 1과 동일한 실감과 향제시선호도 향상이 이루어지는 지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세 가지 실험 모두에서 후각적으로 생생한 영상이 비생생한 영상보다 후각정보를 통한 실감향상과 향제시선호도가 강해지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향과 무관한 영상을 시청할 때는 후각정보가 실감과 향제시선호도를 오히려 저하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상실감분야에 기여할 뿐 아니라 광고 등의 영상을 활용한 마케팅 분야에도 폭 넓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실험 1 :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에 따른 실감효과 1 (참가자내 실험설계)
  2.1 설계 및 재료
  2.2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 지각 조작점검
  2.3 절차 및 참가자
  2.4 향을 통한 실감향상 (질문 1) 결과
  2.5 향 제시 선호도 (질문 2) 결과
  2.6 논의
 3. 실험 2 :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에 따른 실감효과 2 (참가자간 실험설계)
  3.1 향을 통한 실감향상 (질문 1) 결과
  3.2 향 제시 선호도 (질문 2) 결과
  3.3 논의
 4.  실험 3 :  우연적 후각경험에 의한 실감향상효과 검증
  4.1  방법
  4.2  분석방법
  4.3  첫 냄새 블록 결과
  4.4  전체 냄새 블록 결과
  4.5  논의
 5.  종합논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국희 Lee, Guk-Hee.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정윤진 Jung, YunJin.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이형철 Li, Hyung-Chul O..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안충현 Ahn, ChungHyun.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기명석 Ki, MyungSeok.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김신우 Kim, ShinWoo.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