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 응용언어학의 현재와 미래>

한국어교육에서 대화 분석 방법론의 수용 양상과 발전 가능성

원문정보

A Study on Acceptance Aspects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Conversation Analysis Methodology in Korean Language Teaching

백승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ceptance aspects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the conversation analysis methodology in Korean language teaching.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In the first section, a review of oral discourse studie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is conducted to determine the trends and limitations of these studies. The second section explores how conversation analysis (CA) is perceived in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the potentials of CA in Korean language teaching. The third section investigates the features of studies based on the methodology of dialogue grammar. Finally, the discussion in the third section shows that dialogue grammar can be substituted for speech act theory, which is us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n language education studies.

한국어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 연구 분야에서 ‘구어 담화’ 연구의 경향을 살펴보고 대 화분석론(Conversation Analysis)이나 대화문법론(Dialogue Grammar)과 같은 대화분석론이 한국어교육 연구 분야에서 어떻게 수용되었는지 살펴보고 향후 발전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구어 담화는 ‘화행 연구’, ‘담화표지 연구’, ‘담화 및 구어 문법’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연구는 많은 성과를 거두었으나 화행을 의사소통의 기본 단위로 설정하거나 실제 상호 작용이 배제된 자료를 연 구 대상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태생적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다음으로 대화분석론(CA)과 대화문법론의 수용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대화분 석론의 경우 한국어 대화의 구조를 파악하는 구체적인 방법틀로 기대되었던 것 과 달리 몇몇 개념만 단편적으로 수용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대화 분석론의 분석도구는 조사나 어미 같은 문법범주가 행위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재발견될 필요가 있다. 대화문법론의 경우 한국어교육에 대화문법론의 방법론을 적용하려는 시도는 소수의 연구자들에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여러 연구자들에게 ‘대화원형’의 개념이 ‘실제성’과 관련하여 주목받고 있다. 또한 대화문법론은 언어교육학의 이 론적 배경 중 하나인 화행론을 대체할 수 있는 언어 이론으로서의 가능성을 가 지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한국어교육학 분야에서의 ‘구어 담화’ 연구의 특징과 한계
 3. 한국어교육학 분야에서의 CA의 수용 양상과 발전가능성
 4. 한국어교육학 분야에서의 대화문법론의 수용 양상과 발전 가능성
 5.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백승주 Baek, Seung-joo.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