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강릉지역 박물관의 역할과 지역성 요소에 대한 논의

원문정보

A Discussion of Factors of Regionality and Functions of Regional Museums in Gangneung

변경화, 유창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factors of regionality and function of regional museums, focusing on a total of 26 museums located in Gangneung.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seventeen museums are located in urban areas, while nine are located in rural areas. With respect to Gangneung’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 mountains to the west and sea to the east – three of the nine rural museums are located high on the hilly side of the city, and four are located near the seashore. Museums in urban areas converge in Gungpodae and Ojukhuk, which are symbolic spaces in Gangneung. The number of such museums began to increase starting in the 1990s and rapidly increased from the 2000s onwards due to growing societal interest in art and culture. Second, the functions of these museums have changed over time. In the past, their functions were limited to exhibitions, but they currently fulfill educational, experiential, multicultural, and commercial functions in addition to exhibitions. Private museums tend to reflect greater emphasis on public concerns. Some museums are used for commercial benefit, and museums featuring multicultural facilities have been established as a component of public parks for citizens. Finally, regional museums in Gangneung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exhibition content: history and culture, regional and thematic, and environment and ecology. History and culture museums are the most numerous, followed by the regional and thematic category. History and culture museums tend to have been built earlier than the other two types. When the regionality of the Gangneung area is reflected and fixed in museums, regional and thematic museums transition into history and culture museums.


한국어

본 연구는 지역박물관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강릉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26개의 박물관을 대상으로 박물관의 역할과 지역성 요소를 파악하였다. 강릉지역의 박물관은 시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강릉의 상징인 경포대와 오죽헌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읍과 면에 위치하는 경우는 해안선과 태백산맥을 향하는 고지대에 위치하여, 강릉지역의 지역적 특색을 보여주고 있다. 박물관의 개관시기를 보면, 1990년대부터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0년대에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사회 전반적으로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사회분위기가 반영된 것이다. 박물관의 역할은 초기의 전시기능에서 지역사회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역할은 사회와 시대에 변화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1990년대 이전의 박물관은 전시만을 위한 공간이었으나, 최근에는 교육 및 체험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하거나, 지역사회를 위한 문화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강릉지역의 박물관은 역사문화형이 가장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특정한 주제를 테마로 하는 주제집중형이 많이 나타났다. 강릉 지역의 정체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경우는 역사문화형과 지역테마형, 그리고 환경생태형이며, 주제집중형과 주제다양성의 경우 전시주제의 측면에서 지역성과의 연관성이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지역의 문화는 새롭게 등장하고 성장하고 정착하는 과정을 겪으므로, 지역과 밀집한 프로그램 등을 개발·운영하여 지역사회의 문화를 선도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박물관 현황 및 관련 선행연구
  2.1 국내 박물관 현황
  2.2 박물관 관련 선행연구 고찰
  2.3 조사대상 박물관의 개요
 3. 강릉 지역박물관의 역할 분석
  3.1 전시주제에 따른 강릉 지역박물관의 유형분류
  3.2 강릉지역 박물관의 역할변화
 4.강릉지역 박물관의 지역성 요소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변경화 Byun Kyeonghwa. 가톨릭관동대학교 첨단해양공간개발연구센터 조교수, 공학박사
  • 유창균 Yoo Changgeun. 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부교수, 공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