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alysis the Impact of Topographic Factors on the Diversity of Amphibian in Mudeung-san National Park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assess the topographic effect of species diversity of amphibians in Mudeung-san National Park. With this aim,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hannon-weaver index and elevation, slope, aspect, and moisture condition derived from digital elevation model (DEM). We analyzed the change of maximum number of species and assessed the difference of shannon index value across the range of spatial scales (0.2 km, 0.5 km, and 1 km). Overall,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hannon index and topographic factors was less than 0.4, which was no relationship between diversity and topographic factors. Meanwhile, maximum number of species increased until spatial scale reaches to 1km. In spatial scale larger than 1km, maximum number of species was retained stably. The difference of shannon index value across multiple spatial sca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value = 0.0047). We believe that there may be important to preserve biodiversity to ensure the proper habitat area (> 1 km). These findings we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plan to continue to promote diversity.
한국어
본 연구는 무등산 국립공원에서 서식하는 양서류의 종 다양성에 대해서 공간적 범위에 따른 지형적 영향 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종 다양도 지수와 지형적 변수의 단순상관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분산분석을 통해서 공간적 범위에 따른 종 다양도 지수의 차이를 평가하였다. 종 다양도 지수는 0.2 km, 0.5 km, 그리고 1 km 반경에서 조사된 양서류의 종수와 개체수를 이용하여 산출한 shannon-weaver 지수 값을 이용하였다. 지형적 변수로 는 수치고도자료를 바탕으로 유도된 지형고도, 지형경사, 사면향, 그리고 지형습윤지수를 이용하였다. 전반적으로 양 서류의 종 다양도 지수는 공간적 범위와 상관없이 지형적 변수와 상관성(r < 0.4)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 리 종 다양도 지수에 영향을 주는 최대종수는 공간적 범위가 1 km 이상일 때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공간적 범위에 따른 종 다양도 지수의 차이를 평가한 결과, 0.2 km와 1 km의 공간적 범위에서 산출된 종 다양 도 지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p-value = 0.0047) 하였다. 이는 지형적 특성보다는 적정면적(> 1 km)의 서식지를 확보하는 것이 종 다양성을 보전하는데 중요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립공원에서 양서류가 분 포하는 지형적 특성에 따른 생물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고, 종 다양성을 지속적으로 증진하기 위한 보전 및 복원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연구지역 및 사용된 자료
2. 연구방법
3. 종 다양도 산출
4. 지형요소 추출
결과 및 고찰
결론
사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