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지역의 계절별 해빈 부피 변화

원문정보

Seasonal Changes in Beach Topography and Beach Volume in Hakampo

박정원, 장성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aean National Park is a coastal landform having tidal flat, beach, sanddune, sea cliff, and very high diversity of coastal ecosystems due to coexistence with the big wave energy and a large tidal range. However, since the erosion of the Coastal wetland has been occurred recently, the present status of geography should be understood exactly (in order) to establish the management plan and to determine the cause of recent coastal erosion. Thus, Hakampo beaches in Taean National Park have been monitored about the changes of the coast lines, the volume of the beach from February of 2012 through the digital elevation model(DEM) by seasonal periodic measurement to obtain the exact information of the geographical coastal changes.In the case of Hakampo beach, the data showed that the beach volume was increased by 1.71% from April to June 2012 and while the it was decreased 8.22% from June to September 2012. but Analysis was to be restored again between September 2012 and February 2013. The sea levels at the overall lattice numbers were not changed, but tn the regions at the section C being with the artificial reventment the biggest erosions were shown to need to investigate in detail.

한국어

태안해안국립공원은 파랑에너지가 큰 해안과 조차가 큰 해안이 공존하고 있어, 갯벌, 모래해빈, 해안사구, 해식 등의 해안지형이 잘 나타나고 해안생태계의 다양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최근 들어 연안습지에 해안침식 현상 이 나타나고 있어 이러한 원인을 파악하고 관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해서 현재의 지형현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 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지형현황에 대한 해안변화를 정확히 계측하기 위해서 2012년 2월부터 VRS/RTK GPS를 이 용하여 태안해안국립공원 내 학암포해변을 대상으로 측량을 통한 수치표고모델을 제작하여 해빈부피변화를 모니터링 하고 있다. 총 부피변화를 살펴보면 측량을 실시한 기간 동안 부피 감소와 증가가 번갈아 일어난 것을 알 수 있다. 2012년 2월(겨울)에서 봄 사이에 0.55%가 증가하였으나 오차범위 내의 변화이고 2012년 4월(봄)에서 6월(여름)사이 에 1.71% 증가하였고 2012년 6월(여름)에서 9월(가을)사이에 8.22%의 비율로 급격하게 낮아져 침식에 대한 우려를 보였으나 12년 9월(가을)에서 13년 2월(겨울)에 다시 복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형유형별 부피량 분석에 서는 인공호안과 해빈 내에 파식대가 있는 C지역(해변우측)은 경향이 달랐다. 주로 A, B 지역은 총 부피변화와 비 슷한 경향으로 2012년 6월에서 9월 사이에 큰폭으로 침식되었다가 2013년 2월에 퇴적이 되어 복원 되었고 14년 2 월까지 침식과 퇴적을 반복하여 변이계수가 A지역 0.97, B지역 1.18, 총 부피변화 1.26을 나타냈지만 C지역은 비 교적 적은 0.60으로 분석되어 다른 지역에 비해 현저히 낮아 절대변화량의 변화 폭이 적다고 분석할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연구지역 현황
  2. 연구지역 정밀 측량
  3. 자료 분석
 결과
  1. 해빈 총부피변화
  2. 지형유형별 해빈 부피 변화
 고찰
 사사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정원 Jung Won Park. 국립공원연구원 유류오염연구센터
  • 장성건 Jang Sung Geon. 국립공원연구원 유류오염연구센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