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소기업의 스마트교육 수용 분석 : 교육담당자와 일반직원 비교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Adoption of Smart Education between HRD manager and Employee in Korean SMEs

이정환, 김동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apid diffusion of learning that utilizes smart devices (Smart education) facilitates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and allows knowledge sharing. This research analyzes the adoption of smart education and its diffusion in SMEs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SMEs are important organizations and they have a meaningful share of national economies. However, existing literature on workplace learning has primarily focused on employees of large enterprises. Thus, it is essential to identify how SMEs adopt workplace learning. Specially, In order to suggest the way of successful adoption, this study compares adoption behaviour of employees and HRD managers, as a learner and a coordinator of learning.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perceived usefulness is crucial for the adoption. According to comparative analysis, Connectivity, interactivity and personalization, which are important features of smart education, have different effects on perceivd usefullness, ease of use and cost saving for the two groups. In other word, HRD manager emphasize innovative learning system as a reason for adoption, while employees focus on education contents. This analysis provides a useful guide for HRD managers, solution providers, and content providers for the improvement of workplace learning in order to create more value in SMEs.

한국어

본 논문은 중소기업의 스마트교육 확산을 위한 구체적 변화 방향을 확인하고, 주요 특성을 중심으로 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을 통해 수용의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중소기업 업무현장에서 새로운 교육 서비스 도입을 직접적으로 검토하는 교육담당자와 실제 교육을 이용하는 일반직원을 구분하여 분석함으로 그 동안 대기업 중심의 온라인 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존 기업교육 수용연구와 차별화 하였다. 분석결과 중소기업 스마트교육 수용에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이 편의성(Perceived Ease of Use), 경제성(Perceived Cost Saving)보다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스마트교육의 주요 특성에 해당하는 연결성(Connectivity), 상호작용성(Interactivity), 개인맞춤형(Personalization)이 유용성, 편의성, 경제성과의 관계에서 중소기업 교육담당자는 시스템적인 도구 수단으로, 일반직원은 개인 역량강화를 위한 콘텐츠 활용 측면에서 스마트교육을 기대하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는 중소기업 교육담당자가 기업규모, 예산부담, 업무특성 등으로 대기업 대비 상대적으로 직원교육을 소홀히 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편의성, 경제성을 학습인프라 측면의 중요한 변수로 고려한 반면 일반직원은 콘텐츠 활용에서 언제 어디서나 학습이 가능한 연결성을 보장하고 개인맞춤형 학습을 기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스마트교육에서 경제적인 학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개방과 참여, 협업 중심의 개인화된 학습 환경 구축이 우선적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겠다.

목차

논문초록
 I. 서론
 II. 문헌연구
  2.1 중소기업과 스마트교육
  2.2 기업에서 교육서비스 수용 연구
 III. 연구 모형 및 가설
  3.1 연구모형
  3.2 연구가설
 IV. 연구방법 및 실증분석
  4.1 자료 수집 및 변수 측정
  4.2 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4.3 구조모형을 통한 분석결과
 V. 결론 및 시사점
  5.1 연구 결과
  5.2 시사점 및 향후 연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정환 Lee, Jung-Hwan. KT 융합기술원 책임연구원.
  • 김동욱 Kim, Dongl-Wook. KT 융합기술원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