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문학과 로컬

원문정보

The Humanities and a Local

손영삼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69집 2014.12 pp.231-250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at does it mean for the humanities to research a local, in which human being is? A local is not a site, on which human being dwells, but a kind of place, into which human being put his own meaning, i.e. a cultural dimension. The humanities is a science by human being, on human being, and for human being. An answer to that question goes after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o is human being at all? The humanities is a science to find an answer to this question. But the question, "Who is human being at all?", seems to be answered not ultimately yet. All of sciences are an activity, for human being to survive, and its fruits too. For human being, surviving has two aspects: 1. to keep on living, 2. to be as its owner. Human being can be as its owner so long as it keep on living. Of course, the question "how to be human being as its owner" leads the question "how to keep on living" to an answer, and also tag along with the question "who human being is at all" to its answer. Even though the humanities asks this question directly and by the roots, it seems to be not so practical as any other sciences. The suspicion of the humanities' practicality comes from a suspicion of the humanities' certainty. But human being as the subject of research in the humanities is not only the natural but also the cultural. The research of the natural is to explain a matter of fact(quid facti), and the research of the cultural is to interpret a matter of right(quid juris). In oder to interpret a matter of right, the humanities must penetrate into the origin of fact by imagination. From this situation, a suspicion of the humanities' certainty may begin. But the humanities' certainty should be evaluated in strictness and originality of the position and attitude in its research. Because a local is a kind of place, into which human being put his own meaning, the humanities' research into a local accepts fruits of any other sciences' research on a matter of fact in a local. Therefore, if the humanities did not interpret a matter of right in the strictness and originality, a suspicion of the humanities' certainty were not overcome. Finally, when humanities' research of a matter of right and any other sciences of a matter of fact are in harmony, the research into a local could achieve fruits with certainty. Humanities' research into a local has a possibility to solve problems of virtual reality in cyberspace. Cyberspace is an extended local, and virtual reality is an extended reality in local. Although physical form and method to be built cyberspace and virtual reality is different from the process of the transition from the natural into the cultural, human being's position and attitude to cyberspace and virtual reality is not different from its position and attitude to the culture, which is headed by the nature. Humanities' research into a local bears a signification to solve the original problems of human being, besides to demonstrate the realistic application of the humanities. The problems of human being could be answered ultimately, when the solution of the cutural dimension is achieved after the settlement of the natural dimension.

한국어

인간이 사는 곳인 로컬을 인문학이 연구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 로컬은 인간이 사는 터가 아니라, 이 터 에 인간이 의미라는 옷을 입힌 문화의 차원이다. 인문학은 인간을 위한 인간에 대한 인간의 학문이다. 위의 물음에 대한 답은 결국 “인간이란 도대체 누구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에 따른다.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찾는 일이 또한 인문학이다. 하지만 “인간이란 도대체 누구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은 적어도 아직까지는 궁극적인 자리에 이르 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학문은 생명을 가진 인간이 살아남기 위한 물음을 묻는 활동이면서 또한 그 결과이다. 인간에게 있어서 살아남는다 는 것은 두 가지의 측면을 갖는다. 첫째, 생명을 잇는다. 둘째, 인간(나)답게 산다. 인간은 생명이 이어지는 한에서 인간답게 살 수 있다. 물론 “생명을 어떻게 이어갈 것인가?”에 대한 길잡이는 “인간다운 삶을 어떻게 살 수 있는가? ”라는 물음이며, 이 물음은 또한 “인간이란 도대체 누구인가?”라는 물음에 달려 있다. 그런데 이 물음을 직접적이 고 근원적으로 묻는 인문학은 다른 학문영역에 비해 그다지 실용적이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인문학의 실용성에 대한 의문은 인문학의 확실성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비롯한다. 하지만 인문학의 연구 대상인 인 간은 자연적 인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 인간이다. 문화적 인간에 대한 연구는 사실의 문제를 설명하는 것 을 넘어 권리의 문제를 해석하는 것이다. 권리의 문제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상상력에 의해 사실의 근원을 파고들어 야 한다. 여기에서 인문학의 확실성에 대한 의문이 비롯한다. 하지만 인문학의 확실성은 다른 학문영역과는 달리 엄밀성과 근원성에서 판단되어야 한다. 인간이 사는 곳인 로컬은 인간이 의미라는 옷을 입힌 문화의 차원이기 때문에 로컬에 대한 연구는 사실의 문제에 대한 다른 학문영역의 연구 성과를 수용하되, 엄밀성과 근원성을 확보하려는 인문학의 입장과 태도로 권리의 문제 를 해석하지 않으면, 인문학의 연구 성과에 대한 실용성 시비에 대응하기 어렵다. 결국 로컬에 대한 연구는 권리의 문제에 대한 인문학의 연구와 사실의 문제에 대한 다른 학문영역의 연구가 어우러질 때 비로소 확실성을 갖춘 성과 를 이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성과는 로컬리톨로지라는 새로운 인문학이 이룩할 것이다. 로컬에 대한 인문학의 연구는 사이버 스페이스의 버츄얼 리얼리티로부터 실마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사이 버 스페이스의 버츄얼 리얼리티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사이버 스페이스는 확 장된 로컬이며, 버츄얼 리얼리티는 확장된 현실이다. 비록 사이버 스페이스와 그 속의 버츄얼 리얼리티가 형성되는 물리적 형식과 방법은 자연으로부터 문화로 이행하는 과정과는 다르지만, 사이버 스페이스와 버츄얼 리얼리티에 대한 인간의 입장과 태도는 자연으로부터 비롯하는 문화에 대한 인간의 입장과 태도와 다르지 않다. 인간이 사는 곳인 로컬을 인문학이 연구하는 것은 단순히 인문학의 연구 성과를 현실에 적용하여 인문학의 현실적 적실성을 증명하는 것을 넘어 인간이 안고 있는 근원적인 문제를 해소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인간의 문제는 자연적 인 차원의 해결을 넘어 문화적인 차원의 해소를 성취할 때 비로소 궁극적인 답에 이르게 될 것이다. 여기에 새로운 인문학인 로컬리톨로지를 정립해야 하는 대의와 명분이 있다.

목차

Abstract
 1. 들어가는 말
 2. 인문학의 입장과 태도
 3. 인문학의 정신과 가치
 4. 인문학과 로컬
 5. 맺는 말
 참고문헌
 요약문

저자정보

  • 손영삼 SON Young Sam. 부산대학교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