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1

기억과 반-기억의 사이 : 1917년 프랑스 육군 반란

원문정보

Between Memory and Counter-memory : How France Remembers The First World War and the Mutiny of 1917

오경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istorical investigations employing collective memory require a epistemologicalreflection on the complex dynamics between memory and countermemory. All too often, the concept of memory loses its analytical vigor orremains a tautology with “history”. In this vein, the concept of memoryhas to be coupled with that of counter-memory. Counter-memory canbe understood both as social and sociological reality that goes againstgrain of the socially dominant narrative(s); and as a performative categorythat constantly appropriates the reservoir of memory within the sociallydominant narrative(s). This article utilizes both definitions, surveying avariety of appropriation of the memory of the First World War and criticallyexamining the mutiny of 1917. The First World War narratives have evolved,chronologically, from heroic to revisionist and finally to the internationallycooperative one. The heroic narrative privileges the revitalization ofmasculinity, while the revisionist one emphasizes the everyday violence and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one focuses on European universality. Eachnarrative thus reconstructed the memory of the War, constantly performingcounter-memory. It is not a simple fabrication but an ideological apparatusthat produces a network of meanings — both mnemonic and historical. The mutiny of 1917 is important because it implies contradictory meanings that can never be fully appropriated. The mutineers cannot be considered as passive agent rehashing existing ideology; they constantly appropriated ideologies and political positions out of their initial context. It may not be possible to restore their original memory but it is possible to exhibit its complicated contexts and project them multi-directionally.

한국어

집단기억을 통한 역사 연구는 기억과 반-기억 사이의 복잡한 동학에 대한 인식론적반성을 필요로 하고 있다. 집단기억이 개념의 엄밀성을 잃고 오용되거나 ‘역사’와 구분되지 않는 동어 반복에 머무르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반-기억의개념은 기억의 개념만큼 중요할 수 있다. 반-기억은 대항기억이라는 사회적 실체로도, 기억을 지배적 서사(들)에 편입시키는 일종의 행위 범주로도 이해할 수 있다. 이논문은 반-기억에 대한 양가적인 정의를 모두 사용하여 프랑스에서의 제1차 세계대전에 대한 다양한 기억 형성 과정을 살펴보고 특히 1917년 군사반란을 분석한다. 제1차 세계대전에 대한 기억은 시대적인 순서에 따라 영웅적 서사, 수정주의 서사, 국제 협력의 서사의 단계를 거치며 형성되어 왔다. 영웅적 서사는 보불전쟁의 복수와남성성의 회복을, 수정주의 서사는 폭력의 일상화라는 관점을, 또 국제 협력의 서사는 유럽적인 보편성의 강조를 각각의 서브텍스트로 삼았다. 따라서 각각의 서사는제1차 세계대전의 기억을 기억-하기와 망각-하기를 통해 재구성해 왔으며, 이는 행위로서의 반-기억을 끊임없이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이 경우 행위로서의 반-기억은 단순한 왜곡이 아니라 의미망을 형성하고 지식을 생산하는 기제가 된다. 1917년의 군사반란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이유는 이 사건이 사회적으로 합의된 서사의 틀에 포섭될 수 없는 모순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사회적 서사들은다양한 방식으로 이 사건의 의미를 구성해 왔다. 하지만 이 반란자들은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를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행위자가 아니라 대단히 복잡한 방식으로 얽힌 정치적 입장을 보여 준다. 이들의 기억을 ‘온전히’ 복원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하더라도 이들의 기억이 갖는 복잡한 맥락을 드러내며 다방향으로 기억을 방사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목차

1. 서론을 대신하여: 기억의 인식론적 반성을 위하여
 2. 중첩된 기억: 프랑스의 제1차 세계대전
 3. “우리는 참호로 가지 않을 것이다”: 1917년 군사반란
 4. 결론을 대신하여: 다방향 기억의 가능성

저자정보

  • 오경환 성신여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