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술의 구조를 응용한 외부공간 설계기법에 관한 고찰 - 회화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ublic space Design by connection with the Structure of Art - especially Painting -

서주환, 양희승, 승지현, 정혜천, 지광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long with change of philosophic thinking, our contemporary society has gradually respected and spotlighted the importance of human being as principal, and conventional awareness about urban environment has been changing owing to higher interest in ‘a livable city' than ever. However, a lot of abandoned space would bring the design concept of cities to shame in the shade when we observe deeply the modern cities. Even though the design quality has been affected by the basic ability and knowledge of designer, the design methodology can improve the ability and quality of design. This study is concentrated on the connec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other art fields for improving "the design quality". Especially, the unlimited applicable possibility of art is considered for the landscape architecture by focusing on the artistic pictures in this article. The fine art has affected directly and indirectly the landscape architecture activities. The meaning and symbolism for a piece of picture can express a city park as a small canvas in the modern mega-city. The picturesque concept of park design can give the possibility of not functional module but individually creativeness to the rest space of cities. Even though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design is the creativeness or originality, this element can have the limitation by the practical purpose in the real world. Therefore, the depth of design research can be deepen by the harder work through the basic functions and accurate studies.

한국어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대한 환경적 해결방안의 필요성이 제시되면서 도시녹지의 양적 확대를 목표로 한 도시공원의 조성, 도시 내 녹지네트워크 형성 등의 방안이 제기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도시 곳곳에 조성된 도시공원들은 시민들의 여가생활에 전환점을 갖게 한 동시에 휴양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녹지공간의 양적 확대를 우선시한 결과 우리도시는 전통적 가치관 및 조형의식을 담지 못한채 외국의 유행에 따른 디자인의 답습 및 정부 정책 중심의 획일적인 디자인 등에 의해 계획되었다. 결과적으로 도시민들에게 공원은 그저 이름 없는 ‘휴식공간’ 그 자체일 뿐이고, 도시공원의 입지에 따른 장소적 특징들로 이루어진 디자인, 조경가의 미적인 감각과 이론에 의해서 이루어진 디자인을 통하여 도시공간에 보다 생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잠재력의 활용은 기능 중심적이고 정책적인 측면에 의해서 외면당해왔던 것이다. 삶에 질을 중요시하는 현대사회에 있어 획일적인 공공 외부공간은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른 예술분야와의 연계, 특히 미술회화를 중심으로 조경에 있어서 예술의 무한한 응용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하나의 회화 작품이 가지는 의미와 상징들은 커다란 도시공간 속에서 작은 캔버스로 인식될 수 있는 공원에서도 표현될 수 있으며, 그러한 공원 디자인을 통해 기능위주의 획일적인 구성의 휴게공간이 아닌 개성 있는 공원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하게 요구되는 것은 창의성, 즉 참신함이지만 실제로 생활에서 이용하여야 한다는 실용의 목적(실용성) 때문에 여러 가지 제약조건이 따르기 마련이다. 조경설계를 보다 심도 깊게 연구하기 위해서는 디자인의 기본원리에서부터 치밀한 연구와 실험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목차

목차
 국문요약
 Abstract
 I.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방법
 II. 외부공간계획에 관한 고찰
  1. 외부공간 설계방법론의 개념 및 발전
  2. 외부공간계획의 접근방법
  3. 외부공간계획과 연관된 설계방법론
 III. 예술과 연계에 의한 외부공간계획
  1. 예술과 조경의 연계
 IV. 결론

저자정보

  • 서주환 Suh, Joo-Hwan. 경희대학교 예술ㆍ디자인대학
  • 양희승 Yang, Hee-Seung. 경희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승지현 Seung, Ji-Hyun. 경희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정혜천 Jung, Hae-Chun. 경희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지광선 Ji, Kwang-Sun. 경희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