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명사에 후행하는 ‘조사+ 다가’ 구성에 대한 통시적 연구

원문정보

A Diachronic Study of ‘Case Ending(ey/(l)ul/eykey/hanthey/(u)lo)+taka’ Coming after the Noun (다가)

張會見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deals with the grammatical morpheme of daga in Korean language, which appears in ‘noun+case ending(ey/(l)ul/eykey/hanthey/(u)lo)+taka’ phrase. It is known that this kind of daga means ‘emphasis’ and it is generated from the verb tak/taku- according to the current research. This article focuses on the Korean annotation of Chinese classics during 16~18 centuries. The ‘noun+case ending (ey/(l)ul/eykey/hanthey/(u)lo)+taka’ phrase from books of that time are translated from Chinese ‘Ba-sentence’. Based on analyzing the data, this paper comes to two important conclusions: ① The translation of ‘Ba-sentence’ acted as a catalyst for the grammaticalization of tak/taku- → taka. ② taka of e-daga is different form the one in ul/eul/eykey/hanthey/(u)lo-taka.

한국어

본고는 명사에 후행하는 ‘조사+다가’ 구성의 통시적인 사용 양상을 살펴본다. ‘에다가’, ‘을/를다가’, ‘(으)로다가’, ‘에게/한테다가’는 명사에 후행하는 ‘조사+다가’ 구성의 결합 형태들이다. 종래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성의 ‘다가’를 동사의 활용형에서 발달해 온 것이며 ‘강조를 덧보탬’의 의미를 가진 조사라고 파악해 왔다. 이 연구에서는 16~18세기 언해문 자료에서 나타나는 ‘명사+조사+다가’가 백화문(白話文)의 ‘把/將구문’과 규칙적으로 대응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이러한 ‘다가’의 문법화 과정을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두 가지를 밝힐 것이다: ① ‘다가’의 문법화 과정에서 백화문 ‘把/將구문’의 번역투가 중요한 촉매(觸媒) 작용을 하였다. ② ‘을/를다가’, ‘(으)로다가’, ‘에게/한테다가’의 ‘다가’와 달리, ‘에다가’의 ‘다가’가 ‘강조’의 의미 외에 ‘착점(着点)을 향해 접근’이라는 의미도 지니는 데에는 역사적인 이유가 있다. 이에 근거하여 사전에서 ‘에다가’를 ‘을/를다가’, ‘(으)로다가’, ‘에게/한테다가’와 다르게 기술해야 한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을/를다가’와 ‘(으)로다가’
 3. ‘에다가’
 4. ‘을/를다가’의 소멸과 ‘(으)로다가’, ‘에다가’의 변천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張會見 장회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