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필사본 고소설의 특성과 가치-한글필사본의 유통 및 존재 양상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Classical Novels in Manuscript-With a focus on the distribution and existence patterns of Hangul manuscripts-

양승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distribution and existence patterns of Hangul manuscript novels under the goal of discussing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old novels in manuscript. First, we need to take an approach toward novels as if we were treating them as “classical”. Manuscript novels can be examined according to some “layers”. They are first divided into the original texts (manuscript form) and transcription texts. A majority of them are transcription texts whose distance from their original texts cannot be figured out. We can be confident that one is an original text only in an extremely small number of cases. Second, the transcription texts do not have the same nature with some of them featuring special characteristics. We can estimate and measure a distance between some transcription texts and their original texts, and they are called “texts in direct line of the original texts”. Third, some transcription texts have different qualities from common ones even though it is impossible to measure a distance between them and their original texts. They are called “closed transmission texts”. Fourth, the biggest portion of manuscript novels are “common transcription texts” circulated among the public. The common transcription texts we encounter most commonly have lost their origin(the transmission situation and process) and thus come with no or vague genealogy. It is thus needed to consider many literature characteristics, time of crea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in the books before using them as materials in the Korean history. Fifth, many of Hangul manuscript novels are novels in Chinese characters or Chinese novels translated into Hangul. It is also needed to consider the layers of the original texts and their transcription ones before investigating them or using them as materials in the Korean history. The translated Hangul versions of Chinese novels are undeniably “Hangul novels”, which means that they hold the same values as creative novels and should be dealt with as Korean literature rather than foreign literature. Finally, the novels have been circulated with a focus on “manuscript versions” and thus reinforced their transmission power further in the country, keeping the spirit of reader(transcriber) alive in them. Very unique cultural patterns have emerged in the manuscript versions-centric history of novels, and the manuscript versions are deeply steeped in the spirit of their makers since they are not printed versions.

한국어

이 논문은 한글필사본 소설의 유통 및 존재 양상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이로써 필사본 고소설의 특성과 가치 를 논의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주요 내용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는 소설책에 대해서도 ‘古典籍’을 다루듯 접근할 필요가 있는데, 필사본 소설은 몇몇 ‘층위’로 나누 어 살필 수 있다. 우선 필사본 소설을 原本(원고본)과 轉寫本으로 나눌 경우, 그 대다수는 원본과의 거리를 알 수 없는 전사본들이다. 원본이라고 확신할 수 있는 경우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둘째, 전사본도 다 같은 성격이 아니라 특별한 것들이 있다. 비록 원본은 아니더라도 원본과의 거리 측정이 가 능한 전사본이 있는데, ‘원본 직계승본’이 그것이다. 셋째, 원본과의 거리 측정이 불가능한 전사본이라 하더라도, 일반적인 전사본과는 성격이 다른 또 한 부류의 특별한 전사본으로 ‘폐쇄적 전승본’이 있다. 넷째, 필사본 소설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류는 민간 유통 ‘일반 전사본’이다. 우리가 가장 흔히 접하게 되는 일반 전사본들은 이를테면 그 원시성(전래 상황 및 과정)을 상실하여 족보가 없거나 막연한 책이다. 때문 에 이들을 국어사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책에 나타난 여러 문헌적 특징, 저작 시기, 유통 과정 등을 두루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한글필사본 소설 중에는 한문소설 또는 중국소설을 한글로 옮긴 번역본들이 많다. 이들 번역본들을 연구하거나 국어사 자료로 활용할 경우에도 원본과 전사본의 층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별히 중국소설 한 글번역본도 엄연한 ‘한글소설’이라는 점에서 창작소설과 동등한 가치를 지니며, 외국문학이 아니라 국문학이 라는 생각에서 다루어야 마땅하다. 여섯째, 우리나라 소설은 ‘필사본’ 중심으로 유통되었고, 그로 인해 오히려 그 전승력이 더 강했으며, 각 필사 본에는 독자(필사자)의 魂이 살아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필사본 중심의 소설사 속에서 상당히 독특한 문화적 양상들이 나타났으며, 인쇄본이 아니기 때문에 그것을 만든 사람의 정신이 깊이 배어 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원본과 전사본
 3. 한글번역본
 4. 한글필사본 소설의 전승력과 精神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승민 Yang, Seung-min. 선문대학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