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日本語學】

日・韓・中「N+V」型複合動詞の対照研究 - その語構成の異同を中心に -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N‐V Compound Verbs among Japanese, Korean and Chinese ― Focus on the Differences ―

李東哲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sed on the data that is collected from corpus, previous studies and dictionaries,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features of the word combination about N‐V compound verbs among Japanese, Korean and Chinese. As the results, the findings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N‐V compound verbs exist in all three languages. However, there are a great number of N‐V compound verbs in Korean, while the number of N‐V compound verbs is limited in Japanese. Secondly, the pre‐nouns and the post‐verbs in the compound verbs are combined together based on the case relations. Most of N‐V compound verbs in Korean and Japanese are combined under the nominative and the accusative case relations between pre‐nouns and post‐verbs. However, due to the Chinese grammar, the accusative case relation doesn’t exit in Chinese N‐V compound verbs, but there are the subject‐predicate relation and the adverbial‐predicate relation. In Japanese, generally the half of N‐V compound verbs are formed under the nominative case relation, and the other half of N‐V compound verbs are under the accusative case relation. In Korean, 70% of N‐V compound verbs are combined under the accusative case relation. Thirdly, it can be analyzed that N‐V compound verbs are formed from N‐V verb phrases. But Japanese N‐V compound verbs cannot be reverted into N‐V verb phrases. It could be considered that there is a far more complicated mechanism in the word combination of N‐V compound verbs. Fourthly, Korean N‐V compound verbs are 7 times as many as Japanese N‐V compound verbs. One of the reasons is that there are a great number of post‐verbs in Korean, which can be compounded with nouns greatly just as Korean auxiliary verbs do. Finally, in the combination of N‐V compound verbs, due to the adaption of Non‐core Rule in Korean and in Japanese, it can be analyzed that the post‐component can be considered as parts of speech in Korean and Japanese N‐V compound verbs. While in Chinese, although the post‐components are verbs, the whole compound words also can be considered as nouns or adjectives.

한국어

본고에서는 코퍼스와 선행연구 및 사전에서 수집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일・한・중3개국 언어의 “N+V”형 합성 동사의 어휘형성의 특점과 상이점을 밝히려고 시도하였다. 고찰과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전체적으로 “N+V”형 합성동사는 일・한・중 3개국 언어에 다 있는 형태이지만일본어에는 그 숫자가 적 고 한국어에는 많는데, 이것은 상대적으로 일본어에 “N+Va”형합성명사가 생산적인 것과 관계가 있다고 판단 된다. 다음으로, “N+V”형 합성동사의선행명사와 후행동사의 격 관계인데 일본어와 한국어에서는 주격과 대 격에 의한 결합이대다수를 차지하지만 중국어는 중국어 자체의 문법적 특성에 의하여 대격에 의한 결합형태 가 존재하지 않고 “주술격” 구조와 “부사어+서술어” 구조뿐이다. 또한 일본어에서는주격과 대격에 의한 결합 이 대체적으로 반반이지만 한국어에서는 대격에 의한 결합이70% 이상을 차지한다. 세번째로는 “N+V”형 합 성동사는 보통 “N+V”형 구조의 동사구의 단숙형으로 이해되고 있는데 특히는 일본어에서 “N+V”형 합성동 사가 “N+V”형동사구로 환원될수 없는 점으로 보아 “N+V”형 합성동사 형성과정에는 좀 더 복잡한어휘형성 의 메커니즘이 있다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번째로 한국어의 “N+V”형 합성동사는 양적으로 일본어의 약 7배에 달하는데 그 이유의 하나로 한국어에는 보조동사처럼 많은 명사들과 결합하여 합성어를 만드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후행동사가 많은것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N+V”형 합성동사의 형성에 있어서 일본어와 한 국어에서는 “우핵심 규칙”이 적용되기 때문에 후행성분이 전체 합성어의 품사를 결정하지만 중국어에서는 후 행 성분이 동사라고 하여도 전체 합성어가 명사나 형용사가 되는 경우가많다.

일본어

本稿では、コーパスと先行研究ならびに辞書から収集したデータに基づい て、日・韓・中3言語における「N+V」型複合動詞の語形成の特徴や異同を明 らかにしようと試みた。その考察と分析の結果は以下の通りである。まず、全体的に「N+V」型複合動詞は日・韓・中3言語のいずれにもある 語構成の1つのタイプであるが、日本語にはこの種類の複合動詞がそれほど 多くないのに対して韓国語にはかなり多い。これは、韓国語に比べて日本 語には「N+Va」型複合名詞が豊富であることと関係があると思われる。次 に、「N+V」型複合動詞の前項名詞と後項動詞の関係において、日本語と韓国 語では大半が主格と対格による結びつきであるのに対して、中国語にはその文法的特長により、対格による「N+V」型複合動詞が存在せず、「主述式」構造 と「副詞語+叙述語」構造のみである。また、日本語では主格と対格による結 びつきがほぼ互角であるのに対して、韓国語では対格による結びつきが7割 以上をしめている。3つ目に、「N+V」型複合動詞は一般的に「N+V」型句構 造の短縮形と思われがちであるが、とりわけ日本語では多くの「N+V」型複合 動詞が「N+V」型句構造に還元できないことから、その語形成過程にはもう少 し込み入った複雑な語作りのメカニズムがあると考えなければならない。4 つ目は、韓国語の「N+V」型複合動詞は量的に日本語の約7倍に達している が、その理由の一つとして、韓国語には後項動詞が日本語における補助動詞 のように、幅広くいろいろな名詞と結びついて複合語を作る機能をもつもの が多いことが挙げられる。最後に、「N+V」型複合動詞の形成において、日本 語と韓国語では「右側主要部規則」にしたがっているので、後項にくる品詞が 全体複合語の品詞を決めているが、中国語は後項が動詞であっても複合語全 体は名詞や形容詞の場合も少なくない。

목차

<要旨>
 Ⅰ.はじめに
 Ⅱ.日・韓・中3言語における「N+V」型の複合動詞
  1. 日本語における「N+V」型の複合動詞
  2. 韓国語における「N+V」型の複合動詞
  3. 中国語における「N+V」型の複合動詞
 Ⅲ.日・韓における「N+V」型複合動詞と名詞化とのかかわり
 Ⅵ.おわりに
 參考文献
 付録Ⅰ 日本語における「名詞+動詞」構造の複合語
 付録Ⅱ 韓国語における「名詞+動詞の名詞化」構造の複合語
 <要旨>

저자정보

  • 李東哲 이동철. 中国・延辺大学日本学研究所 教授、日本語学・日本語教育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