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日本語學】

漢和辭典 通攝韻 字音 규정의 문제점

원문정보

On the Sino-Japanese classification of group Tong(通) in Sino-Japanese dictionaries

한화사전 통섭운 자음 규정의 문제점

李京哲, 白惠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discussed the classification of consonants for 154 characters that belong to group Tong among 2,136 new usual Sino-Japanese characters(2010) in 6 Sino-Japanese dictionarie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Open syllable gradeⅠ rhyme Dong(東) appear as -u, -uu, -o and -ou types in Go’on. but only -u type classified as a Go’on almost dictionaries. 2) Many dictionaries also shows an error of recording Go’on of [冬・統][農] characters as [ツ][ヌ] in open syllable gradeⅠ rhyme Dong(冬). 3) Many dictionaries recorded differently as a -u type and -uu type of Go’on in Open syllable grade Ⅲ rhyme Dong(東) β(contained medial-ï). 4) Many dictionaries have a tendency to define their Go’on type only as -ju type in open syllable grade Ⅲ rhyme Dong(東) α(contained medial-i) 5) Many dictionaries recorded differently as a -u type and -uu type of Go’on in Closed syllable grade Ⅲ rhyme Zhong(鍾) β(contained medial-wï). 6) Each dictionaries also shows an error of recording Go’on of [勇][龍][從] characters as [ユ][リュ][ジ ュ] in Closed syllable grade Ⅲ rhyme Zhong(鍾) α(contained medial-wi).

한국어

본고에서는 新常用漢字 2136字 중 通攝에 속하는 154字에 대해 漢和辭典 6종을 대상으로 그 字音 규정을 고찰 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1) 開口1等 東韻의 陽聲字는 吳音에서 -u형, -uu형, -o형, -ou형이 혼재하고있지만, 대부분의 사전에서 -u형 을 吳音으로 규정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로 인해 [空][同][弄・籠][總]字의 吳音을 [ク][ズ][ル][ス]로 기재 하는 등의오류가 나타나며, [同・洞・胴・動・童・銅]字의 吳音 [ドウ]를 慣用音으로 규정하는 등의 오류가 나타 난다. 2) 開口1等 冬韻에서도 [冬・統][農]字의 吳音을 [ツ][ヌ]로 기재하는 오류가나타난다. [宗]字의 現音 [シュ ウ]에 대해 대부분의 사전에서 慣用音으로 처리하고 있지만, 이는 吳音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어 吳音으로 분 류해야할 것이다. 3) 開口3等 東韻 을류에서 牙音字의 [弓・宮・窮]과 같은 陽聲字는 吳音에서–u형과 -uu형이 혼재하고 있지만, -u형만을 吳音으로 규정한 사전이 있다. 脣音系에서 [風豊]字의 漢音은 [ホウ], 吳音은 [フウ]와 [フ] 두 가지에 해당하지만, [フ]나 [フウ] 어느 한 쪽만을 吳音으로 처리하고 다른 쪽을 慣用音 으로 처리하는 오류가 나타나며, 또한 [フウ]를 漢音으로 처리하 는 오류도나타난다. [崇]字의 吳音形은 제각각이며, 現音 [スウ]를 모든 사전에서慣用音으로 처리하고 있는 데, [スウ]는 サ行子音의 口蓋性에 의해 출현한吳音으로 보아야 한다. 4) 開口3等 東韻 갑류 陽聲字에 대해 많은 사전에서 그 吳音形을 [ユ・チュ・ ジュ・ニュ・リュ・シュ]와 같이 1拍 의 拗音形으로 규정하는 경향이 보인다. -ju형과 -iu형의 두 표기는 吳音자료이건 漢音자료이건 주로 ヤ行의[ ユ/イウ]와 サ行의 [シュ/シウ]에 집중되며 나머지 行에서는 [キウ・チ ウ・ニウ・リウ]와 같은 2拍의 -iu형으 로 출현한다. 따라서 현재 그 자음형에 [ユ/シュ]를 유지하고 있는 것만을 吳音으로 처리해야 하며, 나머지는 모두 -iu>-juu형으로 통일해야 할 것이다. 5) 合口3等 鍾韻 을류 脣音系의 陽聲字는 吳音에서 [フウ/ブウ]와 같은 2拍形 과 [フ/ブ]와 같은 1拍形이 혼재 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전에서 [フ/ブ]와같은 -u형만을 吳音으로 다루는 경향이 강하며, 이로 인해 [封]字 의 現音 [フウ]를 慣用音으로 처리하는 사전이 있다. 6) 合口3等 鍾韻 갑류에서도 陽聲字에 대해 많은 사전에서 그 吳音形을 -ju형으로 규정하는 경향이 보인다. 이 로 인해 吳音에 해당하는 [勇ユウ][龍リュ ウ][從ジュウ]를 慣用音으로 처리해 버린 사전이 존재한다.

일본어

本稿では、新常用漢字2136字の中で通摂に属する154字について、6種類の漢和辞書 を対象にその字音規定を考察した結果、次のような問題点が現れた。 1) 開口1等東韻の陽声字を、多くの辞書で-u形のみを呉音と規定する傾向が見られ る。 2) 開口1等冬韻の[冬・統][農]字の呉音を[ツ][ヌ]と記載した誤謬が見られる。 3) 東韻乙類に属する牙音字の-u形のみを呉音形と認めている辞書がある。 4) 東韻甲類の陽声字について、1拍の拗音形のみを呉音と規定する傾向が見られ る。 5) 鍾韻乙類の唇音系の陽声字について、-u型のみを呉音と規定する傾向が見られ る。 6) 鍾韻甲類の陽声字についても、その呉音形を1拍の拗音形として規定する傾向が 見られる。

목차

<要旨>
 Ⅰ. 序論
 Ⅱ. 開口1等 東韻
 Ⅲ. 開口1等 冬韻
 Ⅳ. 開口3等 東韻 을류
 Ⅴ. 開口3等 東韻 갑류
 Ⅵ. 合口3等 鍾韻 을류
 Ⅶ. 合口3等 鍾韻 갑류
 Ⅷ. 結論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李京哲 이경철. 동국대학교(seoul campus) 일어일문학과 교수, 日本語音韻論
  • 白惠英 백혜영. 동국대학교(seoul campus) 대학원 수료, 日本語音韻論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